결국 남북 마감통화에 응답 없는 北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지난 주말 남북 통신선 복원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북한은 결국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개시 및 마감 통화 시도에 응답하지 않았다.
통일부는 27일 기자단에 문자를 통해 "27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 각각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한 개시 및 마감통화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통일부도 김여정 부부장의 연속 담화에 대해 "의미 있게 평가한다"며 남북 통신선의 신속한 복원을 위한 북측의 전향적인 움직임을 촉구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지난 주말 남북 통신선 복원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북한은 결국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개시 및 마감 통화 시도에 응답하지 않았다.
통일부는 27일 기자단에 문자를 통해 “27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 각각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한 개시 및 마감통화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김여정 부부장은 지난 24~25일 연달아 담화를 발표하면서 남북 간 대화 재개 의사를 내비친 바 있다. 특히 김 부부장은 상호 존중을 전제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재설치와 남북정상회담 가능성까지 열어뒀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이날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북한이 지난달 단절한 남북통신연락선을 우선 복원 방침을 밝혔다. 통일부도 김여정 부부장의 연속 담화에 대해 “의미 있게 평가한다”며 남북 통신선의 신속한 복원을 위한 북측의 전향적인 움직임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남북 정상 간 합의’에 따라 북한은 지난 7월 27일 13개월간 끊긴 남북 통신연락선을 복원했지만, 지난 8월 한미연합군사 훈련의 사전연습을 계기로 우리 측의 정기통화 시도에 응하지 않고 있다.
김혜린 기자 rin@sedaily.com<©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내달 카드 캐시백 10만원 '꿀팁'…꽉 채워 받으려면 '이것'부터 사세요
- [단독] 화천대유 계정엔 없는 '곽상도 아들' 성과급 50억…'누락 땐 회계부정'
- 만10세 손녀 4년간 성폭행한 70대…변호인 '불우하게 자란 탓'
- 백종원과 손 잡은 '연돈 돈가스' …강남서 '볼카츠' 2호점 열었다
- '층간소음'에…아파트서 흉기 휘둘러 위층 가족 살해 30대 男 붙잡혀
- 女난민 2,000명 임신 중...아프간 난민 체류 미군기지 현 상황
- '1억 미만' 단타 광풍에 깡통전세 속출…실수요자 '한숨'
- '그냥 창문 닫으세요' 흡연자 '적반하장' 협조문 논란
- 인천 아파트 ‘1층 배달 금지’ 반발…종사자들 배달 중단
- '피부에 붙이면 끝'…'반창고형' 코로나 백신 패치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