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김여정 '정상회담' 언급에도..통신연락선 '무응답'(종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27일 남북통신연락선에 응답하지 않았다.
통일부는 이날 "오늘(27일) 오후 5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마감통화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일각에서는 북한이 이날 남북통신연락선을 통한 대화 시도에 응답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제기됐지만 연결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종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개시통화에 북한이 응답하지 않았다면서 "통일부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기능이 하루빨리 정상화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서연 기자,박재우 기자 = 북한이 27일 남북통신연락선에 응답하지 않았다.
통일부는 이날 "오늘(27일) 오후 5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마감통화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도 같은 날 오후 군통신선 연결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 25일 낸 담화에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재설치' '정상회담' 등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북한이 이날 남북통신연락선을 통한 대화 시도에 응답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제기됐지만 연결은 이뤄지지 않았다.
남북 통신연락선과 군 통신선은 지난 7월27일 남북 정상간 합의에 의해 13개월 만에 전격 복원됐다.
그러나 북한이 올 후반기 한미연합군시훈련에 대한 반발 격으로 8월10일 오후부터 '무응답'하며 복구 2주 만에 단절된 상태다.
이종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개시통화에 북한이 응답하지 않았다면서 "통일부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기능이 하루빨리 정상화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관계 개선을 위한 여러 문제를 건설적 논의를 통해 해결해나갈 수 있다고 언급한 김 부부장의 담화를 "의미 있게 평가한다"며 "이러한 논의를 위해서는 남북 간 원활하고 안정적인 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한 만큼 우선적으로 남북통신연락선이 신속하게 복원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통일부는 평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한 통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군 당국은 오전 9시와 오후 4시 각각 북한과의 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통한 통화를 시도하고 있다.
sy@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 아이유♥이종석 '日 별장' 1박 500만원…"사생활 완벽 보호"
- 강유미 "아빠 기업체 오너, 엄마 美 연구원"…다이아 수저?
- 여에스더 "뼛속까지 무속신앙이 지배"…子 결혼 깜짝 발표도
- "장애가 벼슬이냐"…'전신마비' 박위, 장애인 주차구역서 겪은 설움
- 문소리 "겨털 몇 가닥 없는데…시상식서 손 흔들다 딱 찍혔다"
- 서동주, 서세원 사망 후 근황 공개 "위로 감사"
- 이승철 "연상 아내, 망한 회사도 정리해줬다"
- 이다해, 세븐·반려견과 유럽에서 허니문 만끽
- "경계 경보 무슨일이야?"…네이버 한때 먹통
- 배달갔더니 20년전 버린 딸이 "엄마"…또 외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