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유일 생존 애국지사 김영남 옹 별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광주·전남지역 유일한 생존 애국지사였던 김영남옹이 26일 오후 6시 지병으로 별세했다.
고인은 1926년 전남 화순 출생으로 1944년 7월 경남 진해에 있던 일본군 해군해병대에 18세의 나이로 강제 입대했다.
독립항쟁을 결심하고 5명의 동지를 규합해 병영에 방화하고 무기를 탈취해 탈출을 계획했다가 발각돼 경비부 헌병대에 붙잡혔다.
정부는 김 애국지사의 공훈을 기려 1986년 대통령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전남지역 유일한 생존 애국지사였던 김영남옹이 26일 오후 6시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94세.
고인은 1926년 전남 화순 출생으로 1944년 7월 경남 진해에 있던 일본군 해군해병대에 18세의 나이로 강제 입대했다.
독립항쟁을 결심하고 5명의 동지를 규합해 병영에 방화하고 무기를 탈취해 탈출을 계획했다가 발각돼 경비부 헌병대에 붙잡혔다.
1945년 3월 진해경비부 군법회의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6월형을 받고 군형무소 등에서 옥고를 치르다가 일본의 패전으로 1945년 10월 형집행정지로 출옥했다.
고인은 해방 후 6·25전쟁이 발발하자 육군종합학교 1기로 입대해 전장을 누비다 포로로 붙잡혀 탈출하는 등 여러차례 생사의 고비를 넘기며 10여년간 군에 복무한 후 중령으로 예편했다.
정부는 김 애국지사의 공훈을 기려 1986년 대통령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고인은 수년간 치매와 노인성질환 등으로 광주보훈병원에서 요양을 해왔다.
빈소는 광주보훈병원 장례식장 2호실에 마련됐다. 28일 오전 9시 발인한 후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된다. 유족은 배우자와 3남3녀가 있다.
nofatejb@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결혼 전 동성과 성매매, 조건만남 한 여성…문자 본 남편 "이혼하자"
- 웃통 벗고 아내 때리던 남성…말리는 고3 학생까지 무차별 폭행[영상]
- "집에 들어오자마자 이어폰 끼는 남편, 고개만 끄덕…같이 사는 의미 있나"
- 장 봐서 집밥 대접했더니 "밖에서 왜 제대로 된 밥 안 사?" 묻는 남친 '황당'
- 2주 집 비운 새 냉장고에 '낯선 반찬'…남편 "여직원이 챙겨줘" 시끌
- '지방 사업' 남편, 혼외자 낳았다…상간녀는 "미혼모라 힘들었다" 뻔뻔
- 신지 "문원과 첫키스는 집에서…매일 아침 황제 밥상 차려줘"
- 김지민, '재혼' 김준호에 "이 힘든 걸 두 번 하다니 존경해"
- '문원 의혹' 신지 "나 때문에 미움받을까봐"…빽가 눈물
- "유리컵 사용하고 싶으면 네가 직접 설거지"…식당 선 넘은 안내문 몰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