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언론법 강행처리' 움직임 예의 주시하는 靑 "입장없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와대는 27일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대해 청와대에서 따로 더 밝힐 입장이 없다고 전했다.
전날(26일) 청와대는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대한 여당의 강행 처리를 만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정부 주요 입법이나 내년도 예산안 등 정기국회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여당의 언론중재법 개정안 단독 처리로 국회가 파행으로 치달을 경우, 국정운영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큰 것으로 파악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조소영 기자 = 청와대는 27일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대해 청와대에서 따로 더 밝힐 입장이 없다고 전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오늘 언론법과 관련해 여당의 강행처리 움직임이 있을 경우 청와대는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청와대는 (언론법과) 관련해 특별한 입장이 없다"고 말했다.
여야는 8월31일 언론중재법 여야 8인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하고 이들이 9월26일까지 개정안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날(27일) 국회 본회의에 개정안을 상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11차례에 걸친 협의체 회의에서도 끝내 이견은 좁혀지지 못했다.
전날(26일) 청와대는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대한 여당의 강행 처리를 만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정부 주요 입법이나 내년도 예산안 등 정기국회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여당의 언론중재법 개정안 단독 처리로 국회가 파행으로 치달을 경우, 국정운영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큰 것으로 파악됐다.
청와대는 이런 의견을 여당에 전달한 뒤 국회 흐름을 주시하는 분위기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3일 방미 후 귀국하는 기내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언론법에 대해 "지금 언론이나 시민단체나 국제사회에서 이런저런 문제제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점들이 충분히 검토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cho11757@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이혜영, 전남편 이상민 직접 언급 "결혼도 못하고 가슴아파…행복한 가정 꾸리길"
- 차태현, 몽골서 아내 최석은 생각하며 오열…'몽골몽골' 멤버들도 울컥
- 생계 어렵다던 '영재' 백강현 父 "후원금 싱글맘에게 주겠다" 논란
- "소개팅 앱서 만난 아이돌 남친, 수백만원 뒷바라지하자 이별 통보"
- "치료비 요구 안 했다" 호원초 학부모, 농협 계좌 보내 돈 더 받았다
- "마사지 해줄게" 여중생 성폭행한 교장…캠코더엔 다른 학생 음란 영상
- "블핑 리사, 19금 공연서 CEO 복장 하나씩 벗어…알몸은 절대 아니었다"
- 75만 韓 유튜버 "해변서 호주 남성이 19금 행위 묘사" 얼굴 박제
- 정준하 "유재석의 20분의 1 수준 벌어…수입 크게 없어, 괴롭다"
- '보이루' 여혐 논란 유튜버 보겸, 성형 얼굴 2년 만에 공개…"부끄럽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