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칼럼]최고의 중국 억제책

김상용 기자 2021. 9. 27. 13:3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리드 자카리아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CNN'GPS'호스트
美·英·호주 핵잠수함 기술공유협약
中견제 강화했지만 투입까지 19년
中, 즉각 CPTPP 가입신청으로 응수
성사땐 경제적·기술적 '신의 한수'
美, 이제라도 CPTPP 재가입 시급
[서울경제]

지난 9월 15일 미국과 영국이 오커스(AUKUS, 미국·영국·호주의 안보 동맹)로 알려진 ‘3국 방위 동반자 협정’의 일환으로 호주와 핵 잠수함 기술 공유 협약에 서명했다. 이 사건은 미국 외교정책의 지정학적 지렛목이 동쪽으로 이동했으며 향후 수십 년간 아시아가 국제 무대의 중심에 서게 될 것임을 보여주는 신호다.

발표 다음 날 중국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의 후속체인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 공식적으로 가입을 신청했다. TPP는 아시아 지역에서 경제적 지배력을 키워가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앞장서 추진했던 경제협력체다. 단 하루의 시차를 두고 연이어 나온 두 건의 발표는 대중국 정책의 복잡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워싱턴의 아프가니스탄 철수 여파로 미국의 근시안적 사고, 변덕스러운 외교정책과 지구력 결핍이 연일 도마 위에 오른다. 그러나 오커스의 핵 잠수함 거래가 보여주듯 실상은 정반대다. 지금까지 15년에 걸쳐 미국은 유럽과 중동에서 점진적으로 방향을 틀면서 무게중심을 아시아 쪽으로 옮겨갔다.

냉전 시대에 유럽은 치열한 지정학적 경쟁의 중심이었다. 1991년 소련의 붕괴 이후 미국은 서서히 동쪽으로 시선을 돌리기 시작했다. 소련의 해체와 함께 전시 체제에서 평시 체제로의 전환이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빌 클린턴 대통령은 극동 지역에 10만 명의 미군 병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뒤이어 9·11 테러가 발생하자 워싱턴은 어쩔 수 없이 중동 지역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워싱턴은 아시아에서 눈을 떼지 않았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중국 견제에 도움을 줄 우방을 확보하기 위해 수십 년간 이어져 내려온 정책을 깨고 인도의 핵 개발 프로그램을 ‘정상화’했다. 오바마는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미국 외교의 중심축을 아시아로 이동할 것을 분명히 했다. 그는 2만 5,000명의 미군을 호주에 주둔시킨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미국은 태평양 세력이며 이 지역에 계속 머무를 것”이라고 선언했다.

중국을 향한 도널드 트럼프의 전략은 서커스를 방불케 하는 그의 스타일대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 관한 개인적 찬양과 엄청난 대미 무역 흑자에 대한 공격, 중국이 코로나19의 진원지라는 비난 사이를 오갔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중동 지역에서 미군 병력을 추가로 철수하고 태평양 지역으로 관심을 돌리는 ‘방향 전환 정책’을 충실히 따랐다. 트럼프는 미국·호주·일본과 인도 등 4개국 사이의 군사 협력을 통해 중국을 견제하려는 의도에서 대체로 느슨하고 실효성이 떨어지는 비공식 안보 회의체인 ‘쿼드’를 강화했다.

아시아로의 방향 전환에 결정적인 가속력을 부여한 장본은 중국이었다. 수십 년간 유지돼온 관행을 깬 베이징의 호전적인 외교정책은 대다수 주변국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북쪽에 거대한 이웃과의 관계 악화를 원하지 않았던 인도는 미국의 베이징 견제 전략에 동승하기를 꺼렸고 오랫동안 쿼드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했다. 그러나 인도차이나 국경에서 발생한 양국의 유혈 충돌 사태 이후 뉴델리의 입장에 갑작스러운 변화가 일어났다. 인도는 쿼드를 받아들였고 중국은 히말라야산맥의 얼어붙은 불모지 일부를 얻는 데 그쳤다. 지금 인도는 쿼드 구성원 간 합동 군사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다양한 측면에서 중국의 인도 경제 개입을 금지하고 있다.

중국과 호주의 관계도 이와 유사한 궤적을 그렸다. 지난해 중국이 호주 정부에 제기한 14개 항목의 불만 사항은 캔버라로 하여금 더욱 강력한 베이징 억제 수단을 찾도록 만드는 결정적 계기로 작용했고 결국 호주 정부는 미국 측에 핵 잠수함 거래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이쯤에서 중국의 CPTPP 가입 신청으로 돌아가자. 중국은 실제로 CPTPP에 가입할 수 있을까. 아무리 생각해도 그럴 것 같지 않다. 중국이 핵심 분야에서 CPTPP 가입 요건과 상충되는 ‘비시장경제’를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이 어떤 식으로든 CPTPP 가입을 성사시킨다면 이건 그야말로 ‘신의 한 수’가 될 수 있다. 베이징의 영향력을 차단하기 위해 마련한 무역 및 투자 협정이 중국의 어마어마한 존재감을 확인시켜주는 또 하나의 무대가 되기 때문이다.

미국의 입장에서 잠수함 거래는 중요하고 현명한 전략적 포석이다. 이 같은 거래는 군사적·정치적 측면에서 미국에 이득이 된다. 그러나 중국의 도전이 근본적으로 경제적이고 기술적인 것이라면? 미국의 CPTPP 재가입은 정치적으로 어려운 일이지만 앞으로 19년 후에나 실전 배치가 가능한 8척의 호주 핵 잠수함 건조 지원보다 전략적으로 훨씬 중요하다.

김상용 기자 kimi@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