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치료센터 권장 재원기간 10→7일로 단축..확진자 폭증 속 '위드코로나' 예정대로

김향미 기자 2021. 9. 27. 13:2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코로나19 집단감염으로 폐쇄됐다가 27일 다시 문을 연 서울 중부시장에서 상인들이 시장 내 설치된 찾아가는 임시선별검사소에서 검사를 받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383명을 기록해 일요일 집계 기준 최다를 기록했다. 강윤중 기자

코로나19 확산세가 가파르다. 27일에도 일요일 집계 기준으로 역대 가장 많은 2383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그럼에도 정부는 단계적 일상 회복, 즉 ‘위드코로나’를 예정대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당장 의료대응체계 부담을 덜기 위해 무증상·경증 환자가 생활치료센터나 감염병 전담병원에서 재원해 치료받도록 권장하는 기간을 기존 10일에서 7일로 이날부터 단축 적용했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백브리핑에서 “지난 24일부터 생활치료센터·감염병전담병원의 권장 재원 기간을 기존 10일에서 7일로 단축하는 공문을 일선 지방자치단체에 보냈고 오늘(27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다”고 밝혔다. 박 반장은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의 특성상, 증상 발현 하루나 이틀 전부터 감염이 시작되고 증상 발현 3일 후부터는 감염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국립중앙의료원의 임상경험 등 과학적 결과를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중환자를 제외한 생활치료센터나 감염병전담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무증상·경증 환자의 경우에 해당된다. 현재 권장 재원기간에 도달하면 담당 의사가 퇴소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7일 후 퇴소가 결정되면 3일간은 자가격리를 의무적으로 해야 한다.

이는 추석연휴 여파로 최근 며칠간 확진자 수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의료대응체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지난 25일 기준 역대 최대치인 3273명의 환자가 나왔고, 26일엔 2771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방역당국은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2500~3000명 나올 때 최대 1~2주간 버틸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현재 생활치료센터나 중등증, 중증 병상 모두 60%의 가동률로 여유가 있지만, 향후 의료대응체계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효율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당국은 이번에 생활치료센터·감염병전담병원 재원기간을 단축한 데 이어 재택치료를 확대하기 위해 현재의 증상 정도별 병상 배치 기준도 수정할 예정이다.

다만 10월 들어 대체공휴일이 2주 연속 주말과 이어지면서 확진자 규모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정부는 다음달 4일부터 적용할 물리적(사회적) 거리 두기 조정안을 1일 발표하는데, 현행 거리 두기(수도권 등 4단계, 비수도권 3단계)가 최소 2주 연장될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단계적 일상 회복 방안은 거리 두기 수칙의 완화, 백신 접종 완료자에 대한 혜택(인센티브)을 중심으로 짜여질 것으로 보인다. 손영래 반장은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할 때 거리 두기의 방역 완화조치가 필연적으로 수반돼야 한다”며 “이런 완화로 인한 유행 증가 우려에 대해서는 접종자 인센티브나 미접종자 보호 방안을 강화하면서 미접종자가 감염되는 것을 억제하는 쪽으로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예방접종률이 올라가면 확진자는 늘더라도 위중증화율·치명률이 떨어진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이날 공개한 ‘월별 치명률·중증화율’ 자료를 보면, 하루 최대 700명대 확진자가 나온 3차 유행 당시인 지난 1월 치명률은 1.43%, 중증화율은 3.16%였지만, 하루 최대 2000명대 확진자가 나온 지난 8월 치명률은 0.35%, 중증화율은 2.17%로 떨어졌다.

김향미 기자 sokh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