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부아르 마지막으로 만난 날 그의 미소-터번까지 생생하죠"
전채은 기자 2021. 9. 27.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나는 누구이고,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고민에 빠졌던 대학 시절 보부아르를 만났어요. 인간으로서의 자신뿐 아니라 여성으로서의 제 존재를 더 정확히 들여다볼 수 있었죠." 프랑스 파리4대학에서 시몬 드 보부아르(1908∼1986)의 철학 사상과 문학 작품 연구로 석·박사 학위를 받은 이정순 전 여성문화이론연구소 대표(65)가 현대 페미니즘 사상의 모태가 된 보부아르의 '제2의 성'(1949년·사진)을 10일 을유문화사에서 번역 출간했다.
'제2의 성'은 실존주의 철학의 관점에서 원시사회부터 현대까지 여성의 상황을 예리하게 분석한 보부아르의 대표작.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 페미니즘 모태 '제2의 성'
佛원전 첫 정식 출간 이정순 박사
"먼저 해제보고 읽는게 좋은 시작"
佛원전 첫 정식 출간 이정순 박사
"먼저 해제보고 읽는게 좋은 시작"
“나는 누구이고,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고민에 빠졌던 대학 시절 보부아르를 만났어요. 인간으로서의 자신뿐 아니라 여성으로서의 제 존재를 더 정확히 들여다볼 수 있었죠.”
프랑스 파리4대학에서 시몬 드 보부아르(1908∼1986)의 철학 사상과 문학 작품 연구로 석·박사 학위를 받은 이정순 전 여성문화이론연구소 대표(65)가 현대 페미니즘 사상의 모태가 된 보부아르의 ‘제2의 성’(1949년·사진)을 10일 을유문화사에서 번역 출간했다. ‘제2의 성’은 국내에 여러 판본이 유통되고 있었지만 프랑스 원전을 정식 계약해 번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책 번역과 주석, 해설에 3년간 공을 들였다는 이 전 대표를 최근 전화로 인터뷰했다.
“1980년 4월 파리에서 열린 장 폴 사르트르(1905∼1980)의 장례식에서 보부아르를 처음 봤어요. 박사 학위를 준비하던 1986년 3월에 정식으로 약속을 잡고 그를 두 번째로 만났죠. 당시 그의 미소와 그가 쓰고 있던 터번까지도 기억이 생생하답니다.”
보부아르의 철학 사상과 관련한 박사 논문을 준비하던 이 전 대표는 보부아르와 직접 대화하고 싶은 마음에 만남을 청하는 편지를 보냈다. 진솔한 편지에 보부아르는 흔쾌히 시간을 내어 줬고, 한 시간 반 정도 대화한 뒤 “다시 만나자”는 인사를 건넸지만 그로부터 3주 뒤 세상을 떠났다.
‘제2의 성’은 실존주의 철학의 관점에서 원시사회부터 현대까지 여성의 상황을 예리하게 분석한 보부아르의 대표작. ‘우리는 여자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자가 되는 것이다’라는 명제로 유명하다. 보부아르는 이 책에서 사회, 정치, 신화, 문학 등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는 남성의 여성 지배 및 남성이 여성에게 부여한 역할과 이미지를 총체적으로 분석했다.
책은 보부아르에게 세계적 명성을 가져다주었지만 당시 가부장 사회에서 “남녀는 평등하다”는 주장은 강력한 반발을 불렀다. 이 전 대표는 “대중은 물론이고 지식인, 심지어 일부 여성들에게도 ‘말도 안 되는 책’이라는 비난을 받았다”고 전했다. 그는 그 시절의 양상이 지금도 반복되고 있다며 “민주주의의 세례를 받고 자란 오늘날의 젊은 여성들은 성평등 인식이 깊은 데 반해 남성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힘은 여전히 공고해 성갈등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1000쪽에 이르는 이 책을 단숨에 읽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이 전 대표는 “2부에서 다루는 생애주기에 따른 여성의 체험들은 현대 여성의 상황과도 겹쳐져 쉽게 읽힐 거다. 해제를 먼저 읽은 뒤 책을 읽는 것도 좋은 시작”이라는 팁을 건넸다.
프랑스 파리4대학에서 시몬 드 보부아르(1908∼1986)의 철학 사상과 문학 작품 연구로 석·박사 학위를 받은 이정순 전 여성문화이론연구소 대표(65)가 현대 페미니즘 사상의 모태가 된 보부아르의 ‘제2의 성’(1949년·사진)을 10일 을유문화사에서 번역 출간했다. ‘제2의 성’은 국내에 여러 판본이 유통되고 있었지만 프랑스 원전을 정식 계약해 번역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책 번역과 주석, 해설에 3년간 공을 들였다는 이 전 대표를 최근 전화로 인터뷰했다.
“1980년 4월 파리에서 열린 장 폴 사르트르(1905∼1980)의 장례식에서 보부아르를 처음 봤어요. 박사 학위를 준비하던 1986년 3월에 정식으로 약속을 잡고 그를 두 번째로 만났죠. 당시 그의 미소와 그가 쓰고 있던 터번까지도 기억이 생생하답니다.”
보부아르의 철학 사상과 관련한 박사 논문을 준비하던 이 전 대표는 보부아르와 직접 대화하고 싶은 마음에 만남을 청하는 편지를 보냈다. 진솔한 편지에 보부아르는 흔쾌히 시간을 내어 줬고, 한 시간 반 정도 대화한 뒤 “다시 만나자”는 인사를 건넸지만 그로부터 3주 뒤 세상을 떠났다.
‘제2의 성’은 실존주의 철학의 관점에서 원시사회부터 현대까지 여성의 상황을 예리하게 분석한 보부아르의 대표작. ‘우리는 여자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자가 되는 것이다’라는 명제로 유명하다. 보부아르는 이 책에서 사회, 정치, 신화, 문학 등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는 남성의 여성 지배 및 남성이 여성에게 부여한 역할과 이미지를 총체적으로 분석했다.
책은 보부아르에게 세계적 명성을 가져다주었지만 당시 가부장 사회에서 “남녀는 평등하다”는 주장은 강력한 반발을 불렀다. 이 전 대표는 “대중은 물론이고 지식인, 심지어 일부 여성들에게도 ‘말도 안 되는 책’이라는 비난을 받았다”고 전했다. 그는 그 시절의 양상이 지금도 반복되고 있다며 “민주주의의 세례를 받고 자란 오늘날의 젊은 여성들은 성평등 인식이 깊은 데 반해 남성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힘은 여전히 공고해 성갈등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1000쪽에 이르는 이 책을 단숨에 읽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이 전 대표는 “2부에서 다루는 생애주기에 따른 여성의 체험들은 현대 여성의 상황과도 겹쳐져 쉽게 읽힐 거다. 해제를 먼저 읽은 뒤 책을 읽는 것도 좋은 시작”이라는 팁을 건넸다.
전채은 기자 chan2@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野로 번진 ‘화천대유’…곽상도 아들 퇴직금 50억
- [단독]곽상도 “김만배-남욱 만난적 있지만 화천대유 옆에도 간 적 없어”
- [김순덕의 도발]아수라 백작과 화천대유
- 곽상도 아들 “치밀하게 설계된 ‘화천대유’란 게임 속 ‘말’일뿐”
- 화천대유 “곽상도 아들 퇴직금, 합법적 지급이었다”
- [사설]곽상도 아들 퇴직금 50억, ‘대장동 돈 잔치’ 빙산 일각 아닌가
- [사설]“시간 낭비 말자”는 北, 뻔한 간보기 관두고 대화 나서라
- [사설]언론자유 롤모델에서 ‘악영향 주는 나라’ 전락시킨 언론법
- ‘아들 50억 퇴직금’ 논란 곽상도, 국민의힘 탈당계 제출
- 이재명 “호남 집단지성으로 승리”…이낙연측 “2,3차 슈퍼위크 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