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러 "4차 남북정상회담 지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과 러시아가 제4차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지지 입장을 보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제시한 종전선언에 대해 북한의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화답하면서 조성된 4차 남북정상회담이 주변 강대국들의 호응을 받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러시아가 제4차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지지 입장을 보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제시한 종전선언에 대해 북한의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화답하면서 조성된 4차 남북정상회담이 주변 강대국들의 호응을 받고 있다.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 바이든 행정부 들어 첫 북·미 간의 고위급 만남 가능성까지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미 국무부는 25일(현지시간) 김 부부장 담화와 관련, "미국은 남북대화와 관여, 협력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미 국무부 대변인은 김 부부장의 담화에 대한 언론의 서면질의에 이같이 짤막한 답변을 내놨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전날에는 뉴욕 외신기자클럽이 개최한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문 대통령의 종전선언 제안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미국은 북한에 적대적인 의사가 없다"며 "북한과 전제조건 없이 만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러시아 역시 남북대화 지지 입장을 밝혔다. 타스와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뉴욕 유엔총회에 참석 중인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북한이 한국과 관계 정상화에 관심이 있다는 신호를 북한으로부터 받고 있다고 들었다"며 "우리는 항상 남북 간 직접대화를 지지해 왔다"고 밝혔다.
라브로프 장관은 다만 "모든 과정을 통제하려 했던 이전 미 행정부는 남북대화를 늘 찬성했던 것은 아니다"라면서 "새로운 상황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정상적인 남북접촉을 독려할 더 건설적인 조치를 준비할 것을 기대한다"며 미국의 적극적인 움직임을 주문했다.
중국도 4차 남북정상 회담에 적극 나설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은 앞서 문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3자 또는 4자 종전선언을 제안하자 정전협정 체결 당사자로서 역할을 하겠다며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내년 2월에 베이징올림픽을 평화롭게 개최해야 하는 중국 입장에선 남북정상회담과 종전선언에 찬성, 세계평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도 있다.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두 아이 엄마를 25t 트럭이..비극 영상에 한문철 안경 벗고는
- "엄친아인데 결혼식 하객이 왜..." 남편 정체에 경악한 사연
- "사촌 동생이 밤마다..." 못 참고 경찰에 신고한 후기
- 25세 태국 여성의 정체..75억에 성북동 200평 주택 매입 완료
- 전현무 "프랑스고 나발이고 일본을..." 왜 급 흥분했나?
- "자산 25억, 키 180cm" 상남자의 진지한 중매 전단 논란
- '김연경·남진' 논란에 탁현민 뜻밖의 발언 "김제동은.."
- 주유소에서 돈 던진 벤츠, 여성 알바생 바닥에 쭈그려..논란
- 심상치 않은 尹 지지율 근황, 대구·경북서..'반전'
- 40대 여성 장애인, 지하주차장서 웅크린 자세로 숨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