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급증에 결함·리콜도 폭증
전기차 보급 대수가 늘어나면서 결함으로 인한 리콜 대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반면 자동차 결함을 신고할 수 있는 정부기관인 자동차리콜센터는 인력 제한 등으로 사실상 '콜센터' 역할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가 집계한 지난해 전기차(수소전기차 포함) 리콜 대수는 9만746대였다. 전기차 리콜 대수는 2016년 524대에 그쳤으나 2017년 3414대, 2018년 1만2264대, 2019년 1만3024대 등으로 계속 늘어났다. 지난해 리콜 대수는 2016년 대비 173배, 전년 대비 7배에 이른다.
자동차리콜센터가 접수한 전기차 결함 의심 사례 신고도 2016년 6건에서 지난해 292건으로 약 49배 증가했다. 현대자동차는 결함 신고가 2016년 1건, 2017년 3건, 2018년 6건, 2019년 19건에서 지난해 171건으로 크게 늘었다. 리콜 대수는 2016년 1건도 없었지만 2017년에는 아이오닉 일렉트릭 차량 동력 발생 장치 등의 결함으로 3450대를 리콜했고, 2018년과 2019년에는 코나 전기차의 실내 안전장치 문제로 각각 9482대와 1만1139대를 리콜 조치했다. 지난해 10월에는 코나 전기차의 고전압 배터리 결함으로 차량 화재 위험성이 제기되며 2만5564대를 리콜했고, 12월에는 같은 차종에서 제동 장치 결함까지 발견돼 3만2343대에 대한 추가 리콜을 진행했다.
전기차 결함 사례가 늘면서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자동차리콜센터가 접수한 전체 결함 신고는 총 2만7612건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 중 자동차리콜센터가 직접 현장 조사에 나선 것은 403건에 불과했다. 박 의원은 "직원 수도 4명에 불과해 모든 결함 신고를 상담하고 조사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자동차리콜센터가 소비자 권리와 안전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조직을 개편하고 권한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일 잘하고 건강한 고령자 시대…정년연장보다 인력 재배치를"
- 빚투 영끌 시한폭탄 터지나…한국인 소득 4% 늘때 빚 10% 늘었다
- 한국판 `美제다이 프로젝트` 성공할까 [아이티라떼]
- ISMS 획득 못한 거래소 예치금 42억...금융당국 미신고업체 영업종료 이행 점검
- 한은가서 다짜고짜 새 돈 바꿔달라...이제 안통한다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