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재건축도 '칼바람'..수영현대 마지막 안전진단 탈락
2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부산 수영구의 '수영현대 재건축조합설립추진위원회'는 수영구청으로부터 재건축 안전진단 적정성 검토 C등급(유지보수) 판정을 받았다. 정밀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은 이 단지는 적정성 검토에서 점수가 올라 재건축에 제동이 걸렸다.
아파트 재건축을 위해서는 예비안전진단, 정밀안전진단, 적정성 검토 절차를 거쳐야 한다. 정밀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으면 한국건설연구원, 국토안전관리원 등 공공기관의 적정성 검토 절차를 밟아야 한다.
이 단지는 정밀안전진단에서 48.96점으로 D등급을 받았다. 그러나 적정성 검토에서 점수가 55.05점으로 상향됐다. '55점 이하'부터 D등급으로 책정되는 만큼 이 단지는 0.05점 차이로 탈락한 셈이다. 추진위 측은 이의 신청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988년 준공된 '수영현대'는 11개동 1180가구 규모다. 올해로 34년 차를 맞은 이 단지는 부산에서 삼익비치, 동래럭키 등과 함께 부산 재건축 아파트 핵심 단지로 꼽힌다. 부산지하철 2호선 민락역과 인접한 역세권인 데다 센텀시티, 수영강변이 도보권으로 입지가 좋다. 지난 2월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한 이후 재건축 기대감에 아파트 가격도 빠르게 상승했다. 전용면적 84㎡는 지난 6월 13억원에 신고가를 경신했다. 정밀안전진단 통과 직후인 지난 3월 11억원과 비교하면 3개월 사이에 매매값이 2억원 뛰었다.
재건축 기대감 속에서도 적정성 검토 문턱을 넘지 못한 것은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이 강화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정부는 2018년 재건축 안전진단을 강화하면서 평가항목 가운데 주거 환경과 시설 노후도 비중을 낮추고, 붕괴 우려 등이 반영되는 구조안전성 비중을 50%(기존 20%)까지 높였다.
부산 아파트 재건축 사업에 잇달아 브레이크가 걸리면서 조합들이 서울처럼 시기 조절에 나설 전망이다.
1983년 준공된 '동래럭키'(1536가구)는 지난해 11월 예비안전진단에서 '안전진단 불필요' 통보를 받았다.
1978년 지은 '온천삼익' 역시 2019년 예비안전진단에서 탈락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다른 재건축 추진 단지들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서울의 대부분 재건축 단지들이 안전진단 절차를 대선 이후로 미루고 있는 만큼 지방에서도 이 같은 기류가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석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학교 안짓는데도…부담금 내라는 지자체
- 1주일새 호가 3억 뛰었다…한강맨션 재건축, 주변 아파트까지 덩달아 뛴다
- 서부권 대어 불광5구역 재개발 속도…2387가구로 탈바꿈
- 반도건설, ‘거제 반도유보라’ 주방 팬트리, 알파룸, LG ThinQ Home 시스템 등 최신 설계 눈길
- "빌딩보다 비싸겠네…" 국민 평형 84㎡ 아파트가 42억원에 팔렸다
- 이승기 측 “SNS 게시물 삭제, 리뉴얼 과정…해킹 아냐”
- 마트, 백화점, 패션 줄줄이…먹구름 낀 ‘신세계 유니버스’ [special report]
- 안지현 치어리더, 감탄 나오는 호캉스 수영복 자태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 서현진 아나 “평온한 마음들이 폭발 직전 노이로제로 돌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