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특공' 공공기관 직원 30%, 아파트 받고 타 지역 이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혁신도시 특별공급으로 아파트를 받은 지방 공기업 임직원 3명 중 1명은 아파트를 취득한 후 해당 지역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김상훈 국민의당 의원이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115곳으로부터 제출받아 정리한 '특공 수급자 거주 및 발령 현황'에 따르면, 201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 종사자 중 특공을 받은 것으로 추산된 인원은 8318명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민 눈높이에 불공정..다른 주거대책 모색해야"
(서울=뉴스1) 전형민 기자 = 혁신도시 특별공급으로 아파트를 받은 지방 공기업 임직원 3명 중 1명은 아파트를 취득한 후 해당 지역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김상훈 국민의당 의원이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115곳으로부터 제출받아 정리한 '특공 수급자 거주 및 발령 현황'에 따르면, 201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 종사자 중 특공을 받은 것으로 추산된 인원은 8318명이다.
그중 퇴직자 737명을 제외한 현 재직자 7581명 중 해당 혁신도시를 떠나 거주하거나, 타지역으로 인사발령을 받은 인원이 2277명(30%)이다. 김 의원 측은 "주거 안정을 명목으로 아파트를 특별분양 받았지만, 3명 중 1명은 집을 팔고 떠난 셈"이라고 설명했다.
혁신도시 중 타지역 이주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남 진주시였다. 진주에는 11개 기관 1717명이 특공을 받고 재직 중인데, 그중 664명(38.7%)이 경남 또는 진주를 떠나 다른 곳에서 거주·근무 중이었다.
전북 전주(9개 기관 444명 중 155명, 34.9%)와 울산(10개 기관 919명 중 311명, 33.8%)이 진주의 뒤를 이어 타지역 이주율이 높은 혁신도시로 조사됐다.
특공 인원이 100명 이상인 공공기관을 따로 뽑은 결과, 울산의 근로복지공단에서 특공을 받은 인원 144명 중 116명(80.6%)이 지역을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김천의 한국도로공사(101명 중 76명, 75.2%)와 광주·전남의 한국농어촌공사(54.5%), 경남 중소벤처진흥공단(49.4%), 한국토지주택공사(47.3%) 등이 뒤를 이었다.
특공을 받고 1년 이내에 퇴직한 직원은 총 46명이었으며 그중 16명은 6개월 이내에 퇴직했다.
김 의원은 "공공기관 이전 초기, 재직자의 안정적 주거를 위한 특공 혜택은 불가피한 면이 있었지만, 현 상황에서 집은 받고 지역은 떠나는 것은 국민의 눈높이에서 볼 때 상당히 불공정하게 느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이전할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다른 방향의 주거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maverick@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 이혜영, 수십억 럭셔리 자택의 한강뷰…"우리집이 제일 좋아"
- 이다해♥세븐 신혼집 공개…"이다해 집에 세븐이 혼수 마련"
- 소유진 "칠순 엄마, 지구 3분의 1 여행…금지국 빼고 다 갔다"
- '하버드 졸업장' 꺼낸 이준석 "금박 대신 이건데…애들 쓴다"
- 송단아, 친오빠 송민호 손잡고 버진로드 걸으며 美서 결혼식
- 이승기 "이다인 너무 좋은 사람…가치관 비슷"
- 이경규 "정동원, 새 사람 되도록 스승 되겠다"
- 씨스타 소유, 상의 탈의 후 복근 공개 '파격'
- '슈돌' 17세 정안 등장…母 장신영 능가 꽃미남
- "완전 다른 사람"…미자, 충격적 얼굴 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