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어린이들과 2030 여성의 정신건강 적신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어린이와 젊은 여성의 정신건강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우울증 및 스트레스 진료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30 여성들과 소아청소년의 진료 회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조민규 기자)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어린이와 젊은 여성의 정신건강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우울증 및 스트레스 진료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30 여성들과 소아청소년의 진료 회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 관련 진료의 경우 20대와 30대에서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2020년(22.7%, 8.7%)과 2021년(11.4%, 10.5%)에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성별로는 여성에서 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세 이하의 경우 2020년 상반기에 우울 관련 진료량이 5.1%로 감소했으나, 2021년 상반기에는 32.4%로 증가했다. 10대에서도 2020년 상반기 9.0%로 감소하다가 2021년 상반기 17.4%로 증가했다.
스트레스 관련 진료 현황을 보면 20대 진료량이 35.2%로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고, 특히 여성에서 49.0% 증가했다. 여성의 경우 전 연령에서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40대만 남성(25.6%)이 여성(23.2%)에 비해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세 이하에서는 2020년 상반기 22.5% 감소했으나 2021년 상반기에는 58.0% 증가했다. 10대의 경우에도 2020년 상반기에는 18.8% 감소했으나, 2021년 상반기에는 28.4% 증가했다.
신현영 의원은 “코로나 장기화로 전 국민이 코로나 우울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 중 가장 취약한 소아청소년과 2030 여성에게서 정신건강 진료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며 “이제는 단계적 일상 회복을 준비 적용해야 하는 시점에서, 우울과 스트레스 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국민 신체, 정신건강유지 및 빠른 대처를 위해 국가적인 제도의 기반을 마련해가야 한다”고 말했다.
조민규 기자(kioo@zdnet.co.kr)
©메가뉴스 & ZDNET, A RED VENTURES COMPANY,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명절 스트레스, 일시적 증상으로 치부해선 안 돼"
- 집중력·기억력 떨어지고…코로나19 후유증 일년 지속
- 국민 10명 중 6명 "접종률 70% 이후 모임 인원 확대해야"
- 코로나19 장기화에 청년층 정신건강 ‘빨간불’
- LG전자, 작년 매출 첫 80兆 돌파...영업익은 12.5% 줄어
- 2兆 적자에 LGD "고강도 체질 개선"...비용 축소·신사업 집중
- EU, 망 무임승차 방지 논의 본격화
- 잊을 만하면 나오는 中게임 허위광고…대책 마련 시급
- "금융 연계 없다더니"…토스 알뜰폰, 캐시백 공방
- LG엔솔, 지난해 창사이래 최대 실적..."올해 매출 30%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