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환적화물 모두 증가..8월 '컨' 물동량 전년비 3.4%↑

백승철 기자 2021. 9. 26.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6일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2021년 8월 전국 항만물동량'에 따르면 수출입은 전년 동월 131만 TEU 대비 3.4% 증가한 136만 TEU를 기록했다.

항만별로는 부산항이 전년 동월 174만3000 TEU 대비 4.2% 증가한 181만7000 TEU를 기록했으며 수출입, 환적물량이 모두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수부, 26일 '2021년 8월 전국 항만물동량' 발표
수출입 3.4%↑·환적 3.4%↑..대미(對美) 수출입 증가세 뚜렷
부산항에 정박한 컨테이너선에 컨테이너를 선적하고 있다. © News1

(세종=뉴스1) 백승철 기자 = 올 8월 전국 항만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은 수출입, 환적 물동량이 모두 증가하며 전년 동월 234만 TEU 대비 3.4% 증가한 242만 TEU를 기록했다

26일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2021년 8월 전국 항만물동량'에 따르면 수출입은 전년 동월 131만 TEU 대비 3.4% 증가한 136만 TEU를 기록했다. 이 중 수출이 69만 TEU(1.9%↓), 수입이 69만 TEU(9.1%↑)로 수입 물동량의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국가별로는 주요 교역상대국인 대미(對美) 수출입 증가세(27.0%↑)가 두드러졌다

환적은 전년 동월 101만 TEU 대비 3.4% 증가한 105만 TEU로 집계됐다.

항만별로는 부산항이 전년 동월 174만3000 TEU 대비 4.2% 증가한 181만7000 TEU를 기록했으며 수출입, 환적물량이 모두 증가했다.

수출입은 부산항의 물동량 기준 상위국 가운데 일본(11.3%↓), 캐나다(1.6%↓)를 제외한 미국(22.0%↑) 등 다수 국가의 물동량 증가에 따라 전년 동월 75만8000 TEU 대비 5.3% 증가한 79만9000 TEU를 처리했다.

환적은 전년 동월 98만5000 TEU 대비 3.4% 증가한 101만8000 TEU를 처리했다. 이는 중국의 환적물량 증가(34.3만(2.3%↑))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인천항은 전년 동월 27만7000 TEU 대비 1.0% 감소한 27만4000 TEU를 기록했다. 수출입은 중국 및 동남아 수출입 물량 감소에 따라 전년 동월 27만1000 TEU 대비 0.3% 감소한 27만 TEU를, 환적은 전년 동월 5000 TEU보다 다소 감소한 3000 TEU로 집계됐다.

광양항은 전년 동월 16만5000 TEU 대비 2.9% 증가한 17만7 TEU를 기록했다. 수출입은 미국 및 유럽 수출입 물량 증가로 전년동월 14만3000 TEU대비 2.0% 증가한 14만6000 TEU를 처리했으며,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월 2만2000 TEU보다 4.5% 증가한 2만3000 TEU를 처리했다.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8533만 톤으로 전년 동월7778만 톤 대비 9.7% 증가했다. 항만별로는 울산항은 감소하였으나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등 다수 항만이 증가했다.

한편 8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은 총 1억2681만 톤으로, 전년 동월 1억1833만 톤대비 8.7% 증가했다.

이중 수출입 물동량은 세계 경제회복의 흐름 속에 석유화학 관련제품 및 자동차의 수출 호조세가 이어지며 전년 동월 1억162만 톤 대비 9.0% 증가한 총 1억1074만 톤으로 집계됐다.

연안 물동량은 유류와 시멘트 등의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 1671만 톤 대비 6.9% 증가한 총 1787만 톤을 처리했다.

박영호 해수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수출입 화물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지만, 세계 주요 항만의 연쇄적 적체로 인해 부산항의 화물처리가 다소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글로벌 해상물류 적체 상황이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므로, 부산항의 화물 보관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출화물 보관장소를 공급해 수출화물이 적체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bsc9@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