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대결, 윤석열·홍준표 모두 오차내 이재명 앞서"

윤지현 2021. 9. 26. 10: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야권 대권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국민의힘 홍준표 의원 모두 차기 대선후보 양자 가상대결에서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를 앞섰다는 조사 결과가 26일 나왔다.

리얼미터가 뉴시스 의뢰로 지난 22~23일 전국 성인 1천2명을 대상으로 여야 유력 대권주자 양자대결 조사를 실시한 결과, 윤 전 총장이 43.1%의 지지를 받아 37.0%를 얻은 이 지사를 제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자대결시 尹 26.9%·李 25.2%·洪 16.8%
리얼미터 조사..정권교체론 55.6% 정권연장론 38.5%
윤석열-홍준표-이재명-이낙연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윤지현 기자 = 야권 대권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국민의힘 홍준표 의원 모두 차기 대선후보 양자 가상대결에서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를 앞섰다는 조사 결과가 26일 나왔다.

리얼미터가 뉴시스 의뢰로 지난 22~23일 전국 성인 1천2명을 대상으로 여야 유력 대권주자 양자대결 조사를 실시한 결과, 윤 전 총장이 43.1%의 지지를 받아 37.0%를 얻은 이 지사를 제쳤다.

두 후보의 격차는 6.1%포인트로 오차범위 내였다.

홍 의원과 이 지사의 양자대결에서도 홍 의원이 38.2%로, 이 지사(35.6%)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다자대결에서는 윤 전 총장과 이 지사가 초접전을 벌이며 선두권 경쟁을 이어가는 가운데, 홍 의원과 민주당 이낙연 전 대표가 중위권 그룹에서 뒤를 쫓으며 '2강 2중' 구도를 형성했다.

1위인 윤 전 총장은 26.9%를 기록, 2위인 이 지사(25.2%)를 1.7%포인트 격차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홍 의원이 16.8%, 이 전 대표가 12.5%로 각각 3,4위를 차지했다.

이밖에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3.1%), 유승민 전 의원(2.6%),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대표(2.1%),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2.1%), 최재형 전 감사원장(1.6%) 순이었다.

차기 대선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길 기대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55.6%는 '야권에 의한 정권교체'를 꼽았고, 38.5%는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을 선택했다.

한편, 차기 대선에서 여권 지지층은 윤 전 총장을, 야권 지지층은 이 전 대표를 상대하기 쉬운 후보로 각각 꼽았다.

민주당 지지층(306명)에서는 응답자의 39.1%가 상대하기 유리한 후보로 윤 전 총장을 꼽았고, 홍 의원은 26.0%였다.

국민의힘 지지층(422명) 중에선 34.2%가 이 전 대표를 상대하기 유리한 후보로 선택했고, 이 지사는 26.9%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리얼미터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yjh@yna.co.kr

☞ 곽상도 "화천대유서 아들 50억 퇴직금? 그런 구조 만든 건 이재명"
☞ '오징어게임' 아누팜 "韓서 치열하게 살던 나…알리와도 닮았죠"
☞ 장제원 "참담…아들 잘못에 어떤 영향력도 행사 않을 것"
☞ 10㎝ 자르랬더니 10㎝ 남긴 미용실에 '3억원 배상' 명령
☞ 후임병 볼에 입 맞추고 멱살 잡은 20대 벌금형
☞ 머스크, 3년 사귄 17살 연하 그라임스와 별거?
☞ 용암 뒤덮인 라팔마섬서 살아남은 주택 한채…"기적"
☞ 어대명·무야홍에 홍찍명·유치타까지…대선판 조어경쟁
☞ 가족이라더니 토사구팽…외로움 달래주고 버려지다니
☞ '스타 정치인' 형 이어 유명 앵커 동생도…성희롱 폭로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