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매체 정의용 발언 지지.."한국 외교장관, 친 국익 발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관영매체가 정의용 한국 외교부 장관의 발언을 지지하는 사설을 실었다.
정 장관은 유엔 총회 기간 중 미국 뉴욕을 방문, 중국이 최근 국제사회에서 공세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지적에 '자연스러운 일'로 평가하는 등 중국의 입장에 동조하는 듯한 발언을 해 논란을 빚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중국의 중요한 이웃..양국 공동의 정치적 지혜 보여준 것" 평가"
중국 관영매체가 정의용 한국 외교부 장관의 발언을 지지하는 사설을 실었다.
정 장관은 유엔 총회 기간 중 미국 뉴욕을 방문, 중국이 최근 국제사회에서 공세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지적에 '자연스러운 일'로 평가하는 등 중국의 입장에 동조하는 듯한 발언을 해 논란을 빚었다.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한 중국 환구시보(環球時報) 인터넷판 사설은 24일 '친중 발언이라고? 한국 외교장관은 친(親) 국익(한국의 이익)이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우리가 보기에 정의용 장관은 단지 몇 마디의 큰 사실을 말했을 뿐"이라고 썼다. 이 매체는 "어느 나라가 자기 주권과 핵심 이익을 수호함에 있어 강력하게 나가지 않는지 반문하고 싶다"고 밝혔다.
환구시보는 "중국은 여러 나라와 영토 분쟁이 있는데 우리는 명확하게 입장을 밝히고, 자기 이익을 수호해왔다"며 "중국의 실력이 늘었는데 이 힘을 우리를 겨냥한 도전에 반격하는데 쓰지 말아야 한다는 말인가"라고 했다. 이어 "한국은 중국의 중요한 이웃 국가이자 '중·미 사이에 낀' 전형적인 나라"라며 "한국은 중·미 사이에서 일종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주력했다"고 평가했다.
사설은 "이것(미중 사이 균형외교)은 호주, 일본과는 다른 한국 외교의 모습이 됐고, 이는 분명 한국의 전략적 공간을 축소한 것이 아니라, 확장했고 국익을 지키는 외교적 유연성을 증대시켰다"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한국과 중국 사회 내부에 상대방에 대한 격한 정서가 있지만, 양국 정상이 그런 격한 정서가 상호 관계를 주도하지 못하도록 건설적인 방향을 확고히 잡은 것은 양국 공동의 정치적 지혜를 보여준 것"이라고 적었다.
정 장관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외교·안보 분야 싱크탱크 미국외교협회(CFR) 초청 대담회에 참석, 중국이 최근 국제사회에서 공세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사회자 지적에 "경제적으로 더욱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당연하다"며 "20년 전 중국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또 '공세적'(assertive)이란 표현 자체에 대해서도 동의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며 "그들(중국)은 국제사회의 다른 멤버들에게 중국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싶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광태기자 ktkim@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간호사 탈의 불법촬영한 20대 물리치료사…성관계 장면도 찍어
- 김구라, 늦둥이 아빠 됐다…재혼한 12살 연하 부인 1년만에 출산
- 두 돌 안된 영아 강간 살해범, 맨발로 도주하고 심야 절도행각까지 벌였다
- "기분 나빠, 좀 맞자"…퇴근길 행인 묻지마 폭행한 20대 3명
- 영화가 현실로…이란 핵과학자, 원격AI 로봇 기관총에 완벽히 당했다
- 끝나지 않는 `대통령 구속사`… 尹, 현직으론 헌정사상 처음
- 트럼프 행정명령 100개… 어떤 내용 담기나
- 소송 남발에 멍드는 상장사… 공시 집계 이래 최대치
- `한남뉴타운` 깃발 꽂은 삼성물산, `압구정` 노린다
- 英 배터리 스타트업도 자금난… 굳어진 `한·중·일` 5강 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