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관영매체 "정의용, 친중 아니라 한국에 이익인 발언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관영매체가 자국의 공세적 대외 기조에 대해 자연스럽다고 평가한 정의용 한국 외교부 장관의 발언을 지지하는 사설을 내놨다.
앞서 외교·안보 분야 싱크탱크인 미국외교협회(CFR)가 지난 22일(현지시간) 개최한 초청대담회에서 정의용 장관이 중국에 대해 "경제적으로 더욱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공세적 대외 기조는) 당연하다"고 발언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관영매체가 자국의 공세적 대외 기조에 대해 자연스럽다고 평가한 정의용 한국 외교부 장관의 발언을 지지하는 사설을 내놨다.
환구시보 인터넷판은 24일 게재한 ‘친중 발언이라고? 한국 외교장관은 친 국익(한국의 이익)이다’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정의용 장관은 단지 몇 마디의 큰 사실을 말했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환구시보는 “한국은 중국의 중요한 이웃이자 ‘중·미 사이에 낀’ 전형적인 나라”라고 평가했다.이어 “한국은 중·미 사이에서 일종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주력했다”며 “이는 호주, 일본과는 다른 한국 외교의 모습이 됐고, 분명 한국의 전략적 공간을 축소한 것이 아니라 확장했으며, 국익을 지키는 외교적 유연성을 증대시켰다”고 주장했다.
공세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자국의 대외 기조에 대해 환구시보는 “어느 나라가 자기 주권과 핵심 이익을 수호함에 있어 강력하게 나가지 않는지 반문하고 싶다”며 “중국의 실력이 늘었는데, 이 힘을 우리를 겨냥한 도전에 반격하는 데 쓰지 말아야 한다는 말인가”라고 반박했다.
앞서 외교·안보 분야 싱크탱크인 미국외교협회(CFR)가 지난 22일(현지시간) 개최한 초청대담회에서 정의용 장관이 중국에 대해 “경제적으로 더욱 강해지고 있기 때문에 (공세적 대외 기조는) 당연하다”고 발언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이 자리에서 정 장관은 중국의 대외기조가 ‘공세적(assertive)’이라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며 “(중국이) 국제사회의 다른 멤버들에게 중국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싶은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재난지원금 타서 쓰려다 생떼같은 내 돈 줄줄 샌다 [정의진의 경제야놀자]
- "10억 재산, 도박하는 아들 말고 외손자에게 주고 싶습니다" [정인국의 상속대전]
- "3억 열심히 모았는데 잘못 생각했다. 망했다"…30대의 후회
- '오징어 게임' 속 놀이들이 모두 일본에서 온 것이라고? [김동욱의 하이컬처]
- "비싼 아파트 대신 오피스텔? 지금 샀다간…" 전문가의 경고 [최원철의 미래집]
- 오은영, 최환희에 "데뷔에 '母 최진실 프리미엄' 있어" 냉철+따뜻 조언 ('금쪽상담소') [종합]
- 이혜정, 밥 안 주면 굶는 남편→"치욕스런 시댁살이 가슴에 사무쳐" ('해방타운')[종합]
- 강예빈, 비율 실화야? 보고도 안 믿기는 몸매 [TEN★]
- [종합] 기안84 "왕따 NO, 부귀영화 누리며 잘 사는 중" ('나 혼자 산다')
- 방탄소년단, '버터'로 美 레코드산업협회 두 번째 '더블 플래티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