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굳히기? 이낙연 반전?..대장동 개발 논란 속 호남 민심 향방은?

맹성규 2021. 9. 25. 10: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지식포럼에 참석한 이재명 경기지사(왼쪽)와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오른쪽)의 모습. [매경DB]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의 최대 승부처로 평가받는 호남 지역 경선 결과가 이번 주말 발표된다.

민주당 전체 권리당원 70만명 중 20만명(28%)이 조금 넘는 이번 호남의 경선은 이재명 지사의 대세론을 굳힐 지 이낙연 전 대표의 반전을 이뤄낼지가 관전 포인트다.

호남이 중요한 이유는 민주당의 최대 텃밭일 뿐만 아니라 역대 경선에서 승리한 후보가 본선에서도 당선됐던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2002년에는 한 자릿수 지지율을 보였던 노무현 후보가 광주 경선을 기점으로 돌풍을 만들며 대역전 드라마를 썼다. 2007년 정동영 대선 후보, 2012년·2017년 문재인 대선 후보 역시 호남에서의 승리를 기반으로 본선행 티켓을 따냈다.

이 전 대표가 이번에 반등하지 못하면 민주당 경선은 사실상 끝날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호남 지역 경선 결과는 광주·전남 25일, 전북 26일 발표된다.

이재명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첫 심판대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왼쪽)와 이낙연 전 대표가 14일 서울 중구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제22회 세계지식포럼 개막식에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1차 슈퍼위크까지 연승을 거둔 이 지사의 대세론이 형성된 가운데,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이 전 대표의 국회의원직 사퇴, '수박' 발언이 이번 호남 경선에서 뜨거운 쟁점으로 떠올랐다. 지역 정가에서는 호남 경선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관측이다.

앞서 두 후보들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에도 광주와 전남북에 머물며 표심 잡기에 나섰다. 특히 이들은 대장동 특혜 의혹을 놓고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또 이들은 '수박'을 놓고 맞붙었다. 이 지사가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을 반박하면서 당내 인사들을 "수박 기득권자"로 언급했는데, 이 전 대표 측이 "수박은 호남을 비하하는 일베 용어"라고 반박한 것이다.

이재명 캠프 수석대변인인 박찬대 의원은 지난 22일 정례브리핑에서 "수박은 겉과 속이 다르다는 의미"라면서 "수박이 호남과 관련된 용어라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도 없고 나도 처음 듣는다. 이걸 왜 호남 비하로 연결하는지 (이 전 대표 측) 셀프 디스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이에 이 전 대표는 같은날 저녁 방송 인터뷰에서 "호남인들이 싫어하는 말이라면 일부러 쓰지 않는 것이 도리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이낙연 여론조사 '혼전'
5일 오후 충북 청주시 서원구 CJB컨벤션센터에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뽑기 위한 `충북·세종 민주당 순회 경선`이 치러지고 있다. 이재명(왼쪽부터), 김두관, 이낙연, 박용진, 추미애 후보.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호남 지역의 민주당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이 지사와 이 전 대표가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이고 있다.

KBC광주방송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뷰에 의뢰해 지난 22일부터 이틀간 만 18세 이상 광주·전남·전북 유권자 1000명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포인트) 결과, 이 지사와 이 전 대표는 각각 42.3%, 39.8%를 나타냈다. 이어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3.8%), 박용진 의원(2.4%), 김두관 의원(1.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무등일보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뷰에 의뢰해 지난 20~21일 광주·전남지역 만18세 이상 성인남녀 1600명(광주 800, 전남 800)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5%포인트)결과, 이 전 대표와 이 지사는 각각 40.4%, 38.0%를 나타냈다. 이어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4.6%), 박용진 의원(2.5%), 김두관 의원(1.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다만 호남 순회 경선 투표율은 예상보다 저조했다.

민주당에 따르면 23일까지 마감된 광주·전남 및 전북 권리당원 온라인 투표 최종 투표율은 각각 40.29%와 35.69%로 다른 지역에 비해 다소 낮은 투표율을 보였다. 대전·충남은 37.25%, 세종·충북은 41.92%, 대구·경북은 63.08%, 강원은 44.13%를 기록했다.

[맹성규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