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작년 10월 이후 탈북난민 수용 '0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10월 이후 미국이 수용한 북한 출신 난민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미국 국무부 산하 난민심사센터(RPC)에 게시된 난민통계에 따르면 2021 회계연도가 시작된 작년 10월부터 올해 8월까지 난민 지위를 인정받아 미국에 입국한 탈북자는 한 사람도 없었다.
2004년 북한인권법을 제정하고 2006년부터 탈북 난민을 받아들인 미국은 2008년에만 탈북자 37명의 난민 지위를 인정해 입국시켰지만 이후 탈북 난민 수는 계속해서 줄어들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권영전 기자 = 지난해 10월 이후 미국이 수용한 북한 출신 난민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미국 국무부 산하 난민심사센터(RPC)에 게시된 난민통계에 따르면 2021 회계연도가 시작된 작년 10월부터 올해 8월까지 난민 지위를 인정받아 미국에 입국한 탈북자는 한 사람도 없었다.
2004년 북한인권법을 제정하고 2006년부터 탈북 난민을 받아들인 미국은 2008년에만 탈북자 37명의 난민 지위를 인정해 입국시켰지만 이후 탈북 난민 수는 계속해서 줄어들었다.
2015∼2017년 각각 15명, 14명, 12명으로 10명 이상을 유지했던 미국의 탈북 난민 입국자 수는 2018년에는 5명으로 줄어들었고 이어 2019년과 지난해에는 각각 1명과 2명에 불과했다.
미국에 입국하는 탈북 난민의 수가 최근 급격히 줄어든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북한 국경이 봉쇄되면서 접경 감시가 강화하고, 중국에서 다른 국가로 이동하기도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comma@yna.co.kr
- ☞ '스타 정치인' 형 이어 유명 앵커 동생도…성희롱 폭로
- ☞ "성형 실패로 은둔생활"…전설적 슈퍼모델 눈물의 호소
- ☞ 마을 여성 2천명 옷 빨래하는 강간 미수범…그는 왜?
- ☞ '오징어게임' 전화번호 소동…영화·TV속 번호 주인은
- ☞ 북한 현송월·김여정 옷차림에 담긴 '숨은 공식'
- ☞ 세계적 희귀종 '댕구알버섯' 남원 사과밭서 8년째 발견
- ☞ '성폭행' 강지환, 드라마 제작사에 패소…53억 물어낼 판
- ☞ 제스프리 키위에서 코로나 양성 반응이…무슨 일?
- ☞ 금발에 푸른 눈이라서?…'실종 백인여성 증후군'이란
- ☞ '막장' 대명사 '사랑과 전쟁' 부활…원년 배우 총출동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연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민환·율희, 결혼 5년 만에 파경…"신중 고민 끝에 이혼" | 연합뉴스
- 의사 겸 방송인 여에스더, 전직 식약처 과장에 고발 당해 | 연합뉴스
- 故 문빈 추모 공간, 팬들 항의에 결국 폐쇄 | 연합뉴스
- 아내 둔기로 살해한 대형로펌 출신 한국인 미국변호사 긴급체포(종합) | 연합뉴스
- "장어집 의인 찾습니다"…목에 음식물 걸린 60대 구해 | 연합뉴스
- 첫째 아기는 모텔서, 둘째는 공중화장실서 살해…엄마 기소 | 연합뉴스
- 美 가정집서 키우던 '늑대개'에 물린 3개월 아기 숨져 | 연합뉴스
- 10주년 맞은 '나혼산'…전현무 "1인가구 향한 시선 달라져" | 연합뉴스
- 의정부서 광역버스가 횡단보도 건너던 모녀 들이받아…1명 사망 | 연합뉴스
- "차량 끼어들기에 화나서"…쫓아가 흉기 휘두르고 극단 선택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