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이재명 '화천대유 의혹' 정조준.."그의 욕망은 돈보다는 권력"

권준영 2021. 9. 25. 07: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진중권 전 동양대학교 교수가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화천대유 의혹'과 관련해 "뭐, 검은 돈을 받았을 것 같지는 않다"며 "그의 욕망은 돈보다는 권력에 있어 보인다"고 날카롭게 대립각을 세웠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진중권 전 교수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화천대유 사건'이라는 제하의 글을 통해 "사이다에 든 탄산 값 치른다고 생각하면 된다. 세계에서 제일 비싼 탄산값이다"라며 "어떻게 된 일인지 알 수는 없지만, 현재까지 확인된 사실에 근거한 가장 개연적인 시나리오는, 이재명 시장이 제 임기 안에 '치적'을 쌓아 대권가도에 필요한 정치적 자산을 마련하려다가 사고를 쳤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이다에 든 탄산 값 치른다고 생각하면 돼..세계에서 제일 비싼 탄산값"
"가장 개연적인 시나리오는, 제 임기 안에 '치적'을 쌓아 대권가도에 필요한 정치적 자산을 마련하려다가 사고를 쳤다는 것"
"최측근인 유동규가 토건족들과 짜고 친 고스톱으로 보이는데, 이를 몰랐다면, 무능하거나 무책임한 것"
이재명(왼쪽) 경기도지사와 진중권 전 동양대학교 교수. 연합뉴스

진중권 전 동양대학교 교수가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화천대유 의혹'과 관련해 "뭐, 검은 돈을 받았을 것 같지는 않다"며 "그의 욕망은 돈보다는 권력에 있어 보인다"고 날카롭게 대립각을 세웠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진중권 전 교수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화천대유 사건'이라는 제하의 글을 통해 "사이다에 든 탄산 값 치른다고 생각하면 된다. 세계에서 제일 비싼 탄산값이다"라며 "어떻게 된 일인지 알 수는 없지만, 현재까지 확인된 사실에 근거한 가장 개연적인 시나리오는, 이재명 시장이 제 임기 안에 '치적'을 쌓아 대권가도에 필요한 정치적 자산을 마련하려다가 사고를 쳤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진 전 교수는 "민원을 거의 실시간으로 해결해주는 것으로 자신의 추진력을 과시하는 게 그분의 스타일"이라며 "주민들 입장에서는 좋아할 수밖에 없다.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다만, 일이 더딘 데에는 다 이유가 있는 법인데, 그것을 무시하고 마구 추진력을 발휘하니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이번에도 3년 반 만에 개발을 끝내고 분양에 들어갔으니…"라고 이 지사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본인의 주장에 따르면 수익구조가 이렇게 짜인 것을 본인은 몰랐다는 얘기다. 아울러 천화동인이나 뭐니, 과거에 구속됐던 토건족을 비롯한 이상한 개인들이 사실상 사업을 주도했다는 사실도 몰랐고"라며 "최측근인 유동규가 토건족들과 짜고 친 고스톱으로 보이는데, 이를 이재명 시장이 몰랐다면, 무능하거나 무책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무튼 '제대로 공익환수를 하는 것'보다는 '공익환수를 했다는 홍보'에 정신이 쏠려 있으니, 측근인 유동규에게 눈 뜨고 당한 것일 수도 있다"며 "하지만 최대의 치적이라 자랑하는 사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몰랐다는 것은 좀 납득하기 힘든 게 사실이죠. 알고도 방치했다면 배임의 책임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직격했다.

진 전 교수는 "말이 공익환수지, 5000억은 민간개발을 했어도 얼마든지 기부채납을 통해 받아낼 수 있는 액수에 해당한다"며 "그러니 그가 자랑하는 '단군 이래 최대의 공익환수'란 아무 근거 없는 허구, 나쁘게 말하면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거듭 날을 세웠다.

또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라고 우기는데, 애초에 리스크라고 할 게 없었다"며 "지주 작업과 인허가는 관에서 해주었으니, 그들이 져야 할 리스크는 하나도 없었던 셈"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아무튼 민관합동 개발이라, 땅을 가진 이들은 평당 600짜리 땅을 300에 강제수용 당했다. 손해를 본 셈"이라며 "게다가 관주도 사업이라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피해갔으니, 입주민들은 아파트를 원래보다 더 비싼 값을 주고 사게 됐다. 결국 이들도 손해를 본 셈"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어 "결국 원주민과 입주민들에게 돌아가야 할 돈 6천억원이 정체불명의 인간들 주머니 속으로 들어가게 된 것이다. 이걸 '모범사례'라 우기니 원…"이라며 "불로소득을 뿌리뽑겠다고 하더니, 대장동 땅속 깊이 불로소득의 바오밥 나무를 박아놨다. 이게 이재명의 공정이고, 이게 이재명의 평등이고, 이게 이재명의 공익이다. 무려 250만호를 짓겠다고 공약을 해놨으니…그 집들을 이런 개발방식으로 짓는다고 생각해보라. 끔찍하지 않나"라고 우려를 표했다.

끝으로 진 전 교수는 "이재명식 사이다 행정의 탄산값…6천억"이라며 "탄산음료란 게 원래 몸에 해로운 것이다. 아주 가끔 마시면 모를까, 생수 대신에 사이다를 마시며 살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권준영기자 kjykjy@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