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미래 자동차 '테슬라'의 이면을 벗기다
김상운 기자 2021. 9. 25.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1년 전 미국 디트로이트 모터쇼를 취재할 때 다큐멘터리 '누가 전기자동차를 죽였는가?'(2006년)가 떠올랐다.
이처럼 바뀐 흐름을 주도한 건 2008년 전기차 '로드스터'를 출시한 테슬라였다.
저자는 스마트폰 앱을 업그레이드하듯, 출시 후에도 차량용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수정하는 테슬라의 '반복 엔지니어링(iterative engineering)' 시스템도 안전성에 취약하다고 말한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루디크러스/에드워드 니더마이어 지음·이정란 옮김/379쪽·1만8000원·빈티지하우스
11년 전 미국 디트로이트 모터쇼를 취재할 때 다큐멘터리 ‘누가 전기자동차를 죽였는가?’(2006년)가 떠올랐다. 다큐는 GM이 1996년 전기차 EV1을 출시하고도 내연기관에 밥줄이 달린 석유업계 등의 입김으로 인해 이를 폐기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런데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에서 막 기사회생한 GM 포드 크라이슬러 등 빅3가 2010년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를 경쟁적으로 선보였다. 이처럼 바뀐 흐름을 주도한 건 2008년 전기차 ‘로드스터’를 출시한 테슬라였다.
미국 자동차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이 책에서 테슬라 성장에 감춰진 이면을 집중적으로 파헤치고 있다. 서문에 밝힌 대로 테슬라와 일론 머스크 팬들의 ‘공공의 적’인 그가 쓴 책인 만큼 완벽한 균형을 바라기는 힘들 수도 있다. 하지만 영화 ‘아이언맨’ 모델이자 테크업계 신화로 통하는 머스크와 테슬라의 한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책이다. 저자는 테슬라가 정보기술(IT) 측면에서 편의성을 추구하느라 자동차의 기본인 안전성에 소홀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2014년경 사고가 난 테슬라의 모델S 차량들에서 서스펜션 불량이 공통으로 발견된 게 대표적이다. 문제는 수리비 할인 등을 대가로 테슬라가 고객들과 비밀유지 협약을 맺었다는 것. 미국 도로교통안전국 조사를 사전에 차단해 리콜 조치를 막으려고 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저자는 스마트폰 앱을 업그레이드하듯, 출시 후에도 차량용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수정하는 테슬라의 ‘반복 엔지니어링(iterative engineering)’ 시스템도 안전성에 취약하다고 말한다.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신차가 시장에 나올 수 있을 뿐 아니라 규제당국이 특정 부품의 문제점을 추적하는 데 혼란을 줄 수 있어서다. 이는 어쩌면 IT 기반 테크 기업이 보수적인 자동차 산업에 진출할 때부터 예고된 태생적 한계가 아닐까. 제목의 루디크러스(ludicrous·터무니없는)는 순간 속도를 급격히 끌어올리는 테슬라의 최고급 사양(루디크러스 모드)을 뜻하는 동시에, 이 회사의 이미지 과장을 비꼬는 의미도 담았다.
미국 자동차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이 책에서 테슬라 성장에 감춰진 이면을 집중적으로 파헤치고 있다. 서문에 밝힌 대로 테슬라와 일론 머스크 팬들의 ‘공공의 적’인 그가 쓴 책인 만큼 완벽한 균형을 바라기는 힘들 수도 있다. 하지만 영화 ‘아이언맨’ 모델이자 테크업계 신화로 통하는 머스크와 테슬라의 한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책이다. 저자는 테슬라가 정보기술(IT) 측면에서 편의성을 추구하느라 자동차의 기본인 안전성에 소홀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2014년경 사고가 난 테슬라의 모델S 차량들에서 서스펜션 불량이 공통으로 발견된 게 대표적이다. 문제는 수리비 할인 등을 대가로 테슬라가 고객들과 비밀유지 협약을 맺었다는 것. 미국 도로교통안전국 조사를 사전에 차단해 리콜 조치를 막으려고 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저자는 스마트폰 앱을 업그레이드하듯, 출시 후에도 차량용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수정하는 테슬라의 ‘반복 엔지니어링(iterative engineering)’ 시스템도 안전성에 취약하다고 말한다.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신차가 시장에 나올 수 있을 뿐 아니라 규제당국이 특정 부품의 문제점을 추적하는 데 혼란을 줄 수 있어서다. 이는 어쩌면 IT 기반 테크 기업이 보수적인 자동차 산업에 진출할 때부터 예고된 태생적 한계가 아닐까. 제목의 루디크러스(ludicrous·터무니없는)는 순간 속도를 급격히 끌어올리는 테슬라의 최고급 사양(루디크러스 모드)을 뜻하는 동시에, 이 회사의 이미지 과장을 비꼬는 의미도 담았다.
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野 “檢, 대장동 수사 의지 없어”… 박범계 “등장 법조인 역할 의심”
- 이낙연 “대장동 의혹, 국민들 상실감” 이재명 “이익 환수 70%, 잘한 일”
- 최기원 이사장측 “킨앤파트너스에 400억 대여…원금 못 돌려받아”
- 확진자 3000명 넘었다, 오후 9시까지 3039명… 예상보다 큰 ‘추석 후폭풍’
- 정의용 “내가 中대변인이라니 서운… 中은 우리에게 강압적이지 않아”
- ‘종전선언’에 미군철수 등 조건 내건 北…文대통령은 “한미동맹 무관”
- 정부, 대북 협력사업에 100억 지원… 北 거부에 실제 집행은 미지수
- “KBS, 연차수당 ‘기본급의 180%’로 적용해 지급”…감사원, 방만경영 지적
- UN 특별보고관 “韓 언론법, 국제사회에 잘못된 메시지 줄수 있어”
- 文대통령 “언론중재법, 국제사회서 문제제기…충분히 검토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