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늘어난 2030..전세대출 · 주식 투자 영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가계 부채가 1천800조 원을 넘었습니다.
특히 20·30대 청년층에서 빌린 돈이 계속 늘고 있는데, 집을 구하고 또 주식에 투자하느라고 빚을 낸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 탓에 전체 가계 부채도 10% 넘게 늘어 1천800조 원을 넘겼습니다.
특히 20·30대 청년층의 부채 증가율이 다른 연령대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올해 2분기 우리나라 가계 부채가 1천800조 원을 넘었습니다. 특히 20·30대 청년층에서 빌린 돈이 계속 늘고 있는데, 집을 구하고 또 주식에 투자하느라고 빚을 낸 것으로 분석됩니다.
먼저, 정다은 기자입니다.
<기자>
각종 규제에 주택 거래량이 지난해보다 분기 평균 5만 가구 이상 줄었는데도 집값이 뛰면서 주택담보대출액 증가세는 이어졌습니다.
이 탓에 전체 가계 부채도 10% 넘게 늘어 1천800조 원을 넘겼습니다.
[이상형/한국은행 부총재보 : 가계 부채 확대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택 가격의 높은 상승이 이어지면서 금융 불균형이 심화되는 등 중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잠재 취약성은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30대 청년층의 부채 증가율이 다른 연령대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전·월세 사는 청년층이 많은 만큼 전세자금대출 비중이 가장 크고 증가세도 20% 이상으로 꾸준한 편인데,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증가 폭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빚을 내서 집을 사고 주식을 산 청년층이 그만큼 늘어서인데, 실제 수도권 아파트 청년층 거래 비중이나 지난해 청년층이 새로 개설한 주식 계좌 수의 증가세가 이를 방증합니다.
빠르게 늘어나는 부채는 금리 인상 시기 이자 부담으로 되돌아옵니다.
지난 8월 한 차례 금리 인상으로 전체 가계의 이자 부담은 지난해보다 2조 9천억 원 늘고, 만약 연말에 한 차례 더 금리가 오르면 5조 8천억 원 늘어납니다.
한국은행은 전체 가계 부채 연체율이 낮아지고 있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빚을 내 산 자산 가격이 예기치 않게 내려갈 수 있고, 부채 부담으로 인해 소비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는 점은 우려 요소로 지적했습니다.
(영상편집 : 이승열, CG : 장성범)
정다은 기자dan@sbs.co.kr
저작권자 SBS & SBS Digital News Lab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도피 중 성매매 사이트 운영…억대 도박 즐겨”
- '오징어게임' 노출로 전화 폭주…“100만 원 보상하겠다”
- “집 없어 청약통장 못 만들었다”…윤석열 또 말실수
- 선물 환불수수료 10%…5년간 700억 챙긴 카카오
- 도색? 기와지붕?…해법 못 찾은 왕릉 가린 아파트
- “둘째 출산, 밝히지 못한 이유는…” 김구라, 직접 입 열었다
- 윤계상, 깜짝 결혼하더니 삭발까지…“비주얼 쇼크 믿는다”
- “전지현, 남편과 송도 데이트 수차례 목격”…이혼설 완전히 날렸다
- '돈쭐'이 불러온 나비 효과…피자집 다시 가봤더니
- 하석진 “강아지에 내 젖 물리게 했다”…군 가혹행위 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