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잡한 항만·늘어난 화물..컨테이너선 운임, 20주째 최고치

박순엽 입력 2021. 9. 24. 17: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컨테이너선 운임이 20주 연속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운임을 끌어올린 항만에서의 화물 적체 상황이 계속되면서 일부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 운임이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다.

이에 비해 미주 서안 노선 운임은 3주 연속 6322달러에 머물렀다.

컨테이너선 운임 상승세가 이어지는 이유는 항만 혼잡 상황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CFI 한 주 새 0.48%↑..상승 폭 3주째 둔화
항만 혼잡 상황 이어지면서 운임 상승 부추겨
미국 LA·롱비치항, 적체 심화에 운영시간 확대
"물동량 증가에 당분간 운임 강세 이어질 듯"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컨테이너선 운임이 20주 연속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운임을 끌어올린 항만에서의 화물 적체 상황이 계속되면서 일부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 운임이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다.

24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항에서 출항하는 컨테이너선 15개 항로의 단기(spot) 운임을 종합한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이날 4643.79로 전주 대비 21.28포인트(0.46%) 상승했다. 이는 SCFI가 2009년 10월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고치다.

SCFI는 지난 5월14일 이후 20주째 오르며 최고 기록을 매주 경신하고 있다. 지난해 9월과 비교하면 226.6%, 올해 초와 견주면 61.8% 각각 상승했다. 다만 지수 상승 폭은 지난 3일 2.67%→10일 1.45%→17일 1.19% 등으로 점차 둔화하고 있다.

(자료=업계)
국내 수출기업이 주로 이용하는 미주 노선은 동안 노선의 운임만 올랐다. 미주 동안 노선의 운임은 1FEU(1FEU는 12m여 길이 컨테이너 1개)당 1만1976달러로 전주 대비 1.85%(217달러) 오르며 25주 연속 뛰었다. 이에 비해 미주 서안 노선 운임은 3주 연속 6322달러에 머물렀다.

호주·뉴질랜드 노선 운임은 전주 대비 142달러(3.3%) 오른 1TEU(1TEU는 6m여 길이 컨테이너 1개)당 4300달러로 지역별 노선 운임 중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다. 유럽과 남미 노선도 한 주 새 각각 27달러(0.36%), 4달러(0.04%) 상승한 1TEU당 7551달러, 1만195달러로 집계됐다.

이와 달리 중동 노선 운임은 전주보다 35달러(0.88%) 하락한 1TEU당 3960달러, 지중해 노선은 같은 기간 13달러(0.17%) 내린 1TEU당 7511달러로 약세를 보였다.

컨테이너선 운임 상승세가 이어지는 이유는 항만 혼잡 상황 때문이다. 항만에 화물이 쌓여있다보니 선적·하역 작업이 지연되면서 선박이 항만에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이는 곧 선사의 운항 횟수 감소→선박 공급 부족→운임 상승 등으로 이어졌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전체 항만 내 대기 중인 컨테이너선 비중은 34.0%로 전주 대비 0.6%포인트 하락하긴 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일부 지역에선 항만 혼잡 상황을 해결하고자 항만의 운영 시간을 늘리기에 나섰다. 영국 물류 전문 매체 ‘더 로드스타’는 최근 미국 서안의 대표 항만인 로스앤젤레스항과 롱비치항은 각각 주말과 야간 작업시간을 확대했다고 보도했다. 지난주 두 항만에 입항하고자 대기하는 선박이 65척을 넘어서고, 항만 내 대기시간은 8월 중순 6.2일에서 최근 8.7일까지 늘어난 데 따른 조치다.

그럼에도 블랙프라이데이, 크리스마스 등으로 전 세계 물동량이 늘어나고 있어 올해 하반기까지 운임 상승이 이어지리란 전망이 우세하다. 김영호 삼성증권 연구원은 “물동량 증가, 적체 현상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단기간 내 공급 확대가 어려워 운임 강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박순엽 (soo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