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종률 높이면서 거리두기 빠른 완화 대신 점진 개편 고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스라엘·싱가포르·영국·독일의 사례를 볼 때 사회적 거리두기의 점진적 개편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중대본에 따르면, 20일 기준 이스라엘은 1차 접종율이 69.1%이며, 2차 접종률은 64.6%다.
이기일 제1통제관은 "영국·이스라엘·싱가포르·독일 사례에 비춰 우리 실정에 맞는 방역전략을 질병관리청과 검토 중"이라며 "빠른 접종에 따라 접종단계나 사회적 거리두기를 빠르게 완화하는 것보다는 점진적으로 개편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김양균 기자)“이스라엘·싱가포르·영국·독일의 사례를 볼 때 사회적 거리두기의 점진적 개편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기일 제1통제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의 말이다. 앞선 상위 국가들은 접종률 향상 이후 유행이 크게 확산됐다. 우리나라가 이러한 선례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하고 있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 제1통제관은 “우리 실정에 맞는 통합방역대책을 준비 중”이라고 답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20일 기준 이스라엘은 1차 접종율이 69.1%이며, 2차 접종률은 64.6%다. 3차 접종률도 35.3%에 달한다. 그럼에도 24일 이스라엘에서는 5천371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스라엘 발생률을 우리나라 인구로 환산하면 하루 평균 2만6천명~2만7천 명가량의 환자가 발생한 셈이다.
이기일 제1통제관은 “영국·이스라엘·싱가포르·독일 사례에 비춰 우리 실정에 맞는 방역전략을 질병관리청과 검토 중”이라며 “빠른 접종에 따라 접종단계나 사회적 거리두기를 빠르게 완화하는 것보다는 점진적으로 개편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속적인 예방접종을 하되, 고령자 중심의 부스터샷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양균 기자(angel@zdnet.co.kr)
©메가뉴스 & ZDNET, A RED VENTURES COMPANY,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韓 100만 명당 주간 확진자, 이스라엘 보다 30배 적어
- 1차접종률 50→70% 달성, 韓 한달 안 걸려…英보다 5배 빨랐다
- [2023 디미혁] 디플정, 초거대 AI로 'AI 일상화' 앞당긴다
- [2023 디미혁] '잡테크 커넥팅 데이즈' 채용행사, 취준생·직장인 인산인해
- [2023 디미혁] 요리로봇-헬스케어 등 신기술 향연에 호기심 가득
- "디지털 새 질서 주도"...정부, 디지털 권리장전 내놨다
- 美 연방정부 셧다운 D-7…예산안 처리 '불투명'
- "방통위 네이버 사실조사, 법적근거 없어"
- 업비트, 가짜 코인 정상 입금 처리…시장 일시 혼란
- 전기차 보조금, 680만→780만원으로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