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MZ세대를 사로잡은 '오징어게임'

아이즈 ize 홍수경(칼럼니스트) 2021. 9. 24. 17:2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즈 ize 홍수경(칼럼니스트)

사진제공=넷플릭스

'오징어 게임'이 넷플릭스를 통해 9월 17일 처음 공개되었을 때 가장 많이 비교된 작품은 '헝거 게임'이었다. 좀더 나이든 이들이라면 일본 영화 시리즈 '배틀 로얄'을 기억할 것이다. 살아남기 위해 참가자를 모두 죽어야 하는 '데스 게임' 설정의 장르물은 그리 새로운 시도가 아니다. '라이어 게임'이나 '신이 말하는 대로'같은 일본 만화도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얼마 전 공개되어 확고한 팬층을 확보한 '아리스 인 보더랜드'도 이 장르에 속한다. 

그러나 '오징어 게임'만의 흥미로운 차이점이 한 가지 있다.  참가자들이 이 무자비한 생존 게임에 강제 소환된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이다. 모두의 목적은 하나다. 우승자가 되어 거액의 상금을 받는 것이다.  미국의 '슬레이트 매거진'은 '오징어 게임'을 꼭 봐야 하는 신작으로 소개하며 '이 장르의 다른 사촌들과 주요하게 다른 점은 감정적인 펀치를 날린다는 것'이라 지적했다. 진지한 시청자라면 인생의 밑바닥에서 이보다 절박할 수 없는 이들의 사정과 그들의 처절한 생존을 사회의 메타포라 여기며 자본주의 계급 사회의 경쟁과 도덕, 망조에 대해 잠시 상념에 잠길 만하다. 캐릭터의 여정이나 주제 의식에 있어 명작 일본만화 '도박묵시록 카이지'의 영향도 느껴지는 한편, '오징어 게임'은 어른들의 놀이가 아닌 천진난만한 아이들의 전통 놀이를 배치해 데스 게임 장르를 신선하게 변주한다는 점이 매력이다.  그리고 놀랍게도 세계의 반응은 폭발적이다.  

사진제공=넷플릭스

폭력 수위와 구멍 많은 전개 등으로 인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오징어 게임'은 공개되자마자 미국 순위 10위권 안에 들더니 이내 1위에 등극했다. 그후로도 며칠째 넷플릭스 히트 시리즈인 '오티스의 비밀 상담소'와 '루시퍼'를 이기며 넷플릭스 순위 게임에서 1위 독주 중이다. 외부 미디어 통계조사기관에서 발표하는 순위는 몇 주 뒤에 나오기에 정확한 시청 수치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미국  IMDB 사이트 유저 평점 8점대를 유지하는 것만 봐도 그 호응을 짐작할 만하다. IMDB 평점 통계에 따르면 여느 세대보다 10대와 20대의 평점이 높다. 컨텐츠를 두고 진지하게 침참하는 어르신들과 달리 이 세대는 '오징어 게임'을 대중 문화 수준으로 즐기는 데 열심이다. 평론가들이 글과 유튜브로 반전을 평가하고 시즌 2의 내용을 예측하는 동안(아직 시즌 2 제작은 결정되지 않았다), 다른 팬들은 '틱톡'에서 달고나 캔디 만들어 원하는 모양 자르기에 실패한 영상에 '오징어 게임' 관리자가 총을 쏘는 클립을 이어붙이는 재미에 빠져 있다. 

게다가 '오징어 게임'을 본 방탄소년단 팬들은 방탄소년단의 놀이 영상 클립과 '오징어 게임'을 섞으며 또 다른 재미를 만끽한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와 달고나 캔디 게임에 열심히 임했던 방탄소년단의 오래전 영상들이 '오징어 게임'의 관리자 반응 클립과 만나 새로운 패러디의 세계가 열렸다. 

사진제공=넷플릭스

한 해를 장악한 팝 컬처라면 반드시 거쳐가는 할로윈 의상 분야에서도 '오징어 게임'은 서서히 언급되기 시작한다. 이미 '오징어 게임' 관리자의 핫핑크 점프수트와 펜싱 마스크 비슷한 가면이 인터넷 쇼핑 사이트에서 판매 중이다. DIY 코스튬을 원하는 이들은 아마존에서 핑크 우비 세트를 열심히 검색하고 있다. 점프수트 코스튬이라면 한동안 '브레이킹 배드' 하이젠버그의 노란 비닐 의상이 대세였으나, 앞으론 '오징어 게임'의 핫핑크 색상이 한동안 인기를 얻지 않을까 하는 섭부른 추측도 해본다.

하나의 작품이 이런 팝 컬처 돌풍을 일으키기 위해선 대다수 사람이 납득하고 공감할 만한 이야기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설국열차' '부산행' '기생충' '킹덤' 등 한국은 꾸준히 계층 문제를 기반으로 한 호러/스릴러 장르에서 신뢰를 쌓아왔고 '오징어 게임'도 그 자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이야기다.

타인종이나 젠더 묘사에 있어 부족한 부분도 보이지만, 미국 시청자들은 그보다 VIP로 등장하는 외국인 배우들의 미숙한 연기에 더 불편함을 드러내는 분위기다. 이렇듯 한국 컨텐츠에 대한 다양한 반응들은 국내와는 달라서 더 흥미롭다. 또한 국내의 평가가 어떠하든 세계의 동시대 이야기로 수용되는 현상은 여전히 신기하다. OTT의 시대가  전세계 팝컬처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는 가운데 이 게임에서 누가 먼저 오징어 머리에 안착할 수 있을지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어쨋든 한국 컨텐츠는 막강한 공격수로서 제몫을 다하고 있다.  

Copyright © ize & iz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