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특이서식 수환경서 미기록 돌말류 11종 발견

2021. 9. 24. 12: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특이서식 수환경으로 알려진 석호 일대에서 미기록종 돌말류인 마스토글로이아 엘립티카(Mastogloia elliptica)를 비롯한 11종을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나비큘라 프레세이(Navicula freesei), 곰포네마 이탈리쿰(Gomphonema italicum) 등과 같이 담수 환경에 서식하는 종과 자이로시그마 시넨스(Gyrosigma sinense)와 할레아 크루시제라(Haslea crucigera) 등과 같은 해수 환경에 서식하는 종이 출현해 석호의 수환경 특징과 생물다양성을 동시에 확인 할 수 있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상주)=김병진 기자]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특이서식 수환경으로 알려진 석호 일대에서 미기록종 돌말류인 마스토글로이아 엘립티카(Mastogloia elliptica)를 비롯한 11종을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석호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자연호수로서 주로 강원도 해안을 따라 분포하며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어 생물다양성이 높은 특이서식지다.

자원관 연구진은 향호에서 4종, 염개호와 가평리습지에서 각각 2종, 경포호, 천진호, 매호에서 각각 1종의 미기록 돌말류를 발견했다.

나비큘라 프레세이(Navicula freesei), 곰포네마 이탈리쿰(Gomphonema italicum) 등과 같이 담수 환경에 서식하는 종과 자이로시그마 시넨스(Gyrosigma sinense)와 할레아 크루시제라(Haslea crucigera) 등과 같은 해수 환경에 서식하는 종이 출현해 석호의 수환경 특징과 생물다양성을 동시에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해양 과학과 기술 저널(Journal of Marine Science and Engineering)'6월호에 게재돼 한국의 석호에 서식하는 미세조류의 생물 다양성을 국제적으로 보고했다.

정상철 미생물연구실장은 "이번 연구로 석호에 살고 있는 다양한 미기록 돌말류를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국가생물종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kbj7653@heraldcorp.com

(본 기사는 헤럴드경제로부터 제공받은 기사입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