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신임 임원 10명 중 6명은 1970년대생 'IMF 학번'

류정민 기자 2021. 9. 24. 11: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XO연구소, 국내 5개 기업 신임 및 퇴임 임원 연령대 분석
71~75년생 150명으로 45%, 퇴임임원 절반 이상은 61~65년생
© 뉴스1

(서울=뉴스1) 류정민 기자 =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하이닉스, LG전자, 포스코 등 5개 기업이 지난해 말에서 올해 초 사이 단행한 정기 인사에서 새로 선임된 임원 10명 중 4명은 IMF 외환위기 시기에 대학을 졸업한 1971~1975년생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삼성전자는 신임 임원의 60%가량을 1971~75년생이 차지했다.

한국CXO연구소(소장 오일선)는 5개 기업의 2021년 신임 및 퇴임 임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CXO연구소는 분석 대상 기업의 지난해 반기와 올해 반기 보고서를 토대로, CEO급 등기 임원을 제외한 미등기임원을 비교했다.

조사 결과 올해 주요 5개 대기업의 전체 임원 숫자는 2070명 내외로 집계됐다. 이 중 작년 말 이후 본격 진행된 2021년 인사에서 임원 반열에 처음으로 이름을 올린 이는 330명(15.9%)으로 조사됐다. 10명 중 1.5명 정도 수준이다. 이중 남성이 312명으로 94.5%를 차지했다..

신임 임원들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단일 출생연도 중에서는 올해 우리나라 나이로 51세인 1971년생이 42명으로 최다였다. 남학생의 경우 90학번으로 대학에 입학한 경우가 많은 연령대다. 다음으로 72년생이 40명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이어 70년생(33명), 69년생(29명), 74년생(27명), 68년생(23명), 73년생(22명) 순으로 20명 넘게 임원에 선임된 것으로 파악됐다.

전체적으로 보면 대학 졸업과 동시에 IMF 외환위기를 맞이하며 'IMF 학번'으로 불리던 세대 중에서도 1971~75년생이 150명으로 45.5%를 차지했다.

반면 65~69년생 신임 임원 숫자는 94명으로 30%를 밑돌았다

이번 조사 대상 국내 주요 5개 기업의 발탁 임원 핵심 연령층도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올 상반기 기준 국내 기업 중 임원 숫자가 가장 많은 곳은 삼성전자로, 미등기임원 숫자만 1000명을 넘어섰다. 이 중 1년 차 미만 신임 임원은 150명 내외로 파악됐다. 이 중에서도 1972년생이 29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71년생(24명), 74년생(20명), 73년생(16명) 75년생(12명) 순으로 신규 임원 인원이 많았다. 삼성전자만 놓고 보면 이미 2021년 인사에서 신임 임원의 60% 이상을 IMF 학번에 속하는 71~75년생들을 다수 등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와 LG전자도 올 연말 이후 발표될 인사에서 70~72년생을 전면에 배치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표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와 포스코는 1960년 후반 출생자가 여전히 2022년 임원 인사에서도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점쳐진다. 다만 현대차는 68~69년생을 임원으로 다수 발탁하면서도 70년대 초반생도 대거 임원으로 등용하려는 특징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는 업종 특성과 발탁 임원 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올 연말 인사 등에서 65~68년생이 임원으로 많이 진출할 선임될 가능성이 높다. 올해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포스코의 1970년대생 임원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 뉴스1

신임 임원과 달리 조사 대상 5개 기업에서 지난해 임원 자리를 내주고 회사를 떠난 이들도 30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연도별로 살펴보면 61년생이 4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64년생(35명), 65년생(32명), 62년생(31명), 63년생(25명), 66년생(22명) 순으로 임원에서 물러난 사람이 많았다.

전체적으로 보면 61~65년생만 해도 퇴임 임원이 160명을 훌쩍 넘겨, 전체 퇴직 임원 중 절반 이상 차지했다. 이러한 흐름이 2022년 인사에도 이어질 경우 62~65년생에 속하는 임원들이 올 연말 등에 물러날 가능성이 한층 높다. 이와 함께 70년대생 이후 출생한 젊은 임원도 40명 정도 임원에서 물러났다. 임원 반열에 일찍 올라섰지만 1~2년 내에 조기 퇴진하는 이들도 많이 나오고 있다는 의미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최근 70~80년대생 젊은 오너들이 임원으로 다수 진출하고 있는 데다 재계도 60년대생에서 70년생으로 임원 중심축이 바뀌고 있다"며 "대기업을 중심으로 올 연말 임원 인사에서 70년대 초반생 중에서 발탁 임원을 등용하려는 분위기는 더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뉴스1

ryupd0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