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반도체 45일 재고 보고하라"..바이든 또 소집했다, 올들어 세번째
반도체 유통 전반 투명성 신뢰 요구
반도체 문제와 관련해 백악관이 직접 회의를 연 건 올해 들어 세 번째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워싱턴포스트 등 미국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날 백악관은 브리핑을 통해 브라이언 디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과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이 전세계 반도체 부족 등에 따른 생산 차질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화상 회의를 주재했다고 밝혔다. 바이든 행정부 들어 백악관이 '반도체 회의'를 소집한 건 지난 4월과 5월에 이어 세 번째다.
회의에는 펫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삼성전자, TSMC,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제너럴모터스(GM), 스텔란티스, BMW 등 굴지의 반도체 업체 외에도 자동차·전자업체도 대거 참석했다. 삼성전자 측은 지난 4월과 5월 이어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사장)이 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회의에서 백악관과 기업들은 지속되고 있는 글로벌 반도체칩 부족 현상에 따른 수급 전망을 논의했다. 또 반도체 제조사와 구매업체 전반의 투명성 제고와 신뢰 증진에 대한 논의도 이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반도체 제조사와 구매업체 전반에서 투명성과 신뢰 증진과 관련한 업계의 진전에 대해서도 논의했다"며 "반도체 부족은 취임 이후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최우선 순위"라고 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상무부는 기업에 투명성을 요청하며 관련 기업들에게 45일 내로 반도체 재고와 주문, 판매 등과 관련한 정보를 자발적으로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러몬도 장관은 이날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정보 제공 요청은 투명성 제고를 목표로 하는 것"이라며 "병목 현상이 어디서 일어나는지 알아내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기업 내부 정보를 내놓으라는 상무부의 주문에 대부분 기업들이 난감해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정부가 기업에 내부 정보 공개를 강요하는 건 논란의 소지가 있어서다.
심지어 바이든 행정부는 국방물자생산법(DPA)을 동원해 기업의 정보 제출을 강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DPA는 한국전쟁 시절 군수물자 생산을 위해 마련한 법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코로나19 백신 제조를 독려할 때 이를 활용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삼성전자의 미국 파운드리 증설 투자 관련 내용은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승한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95억원 돈방석`…채시라 남편 회사 직원들 얼마나 좋을까
- 포스코서 구매대행, 철강업계 `적과의 동침`
- 조선 3사, 3분기만에 한해 장사 끝냈다
- “삶의 기록인 사진의 가치 체험과 재발견 기회 되길”
- ‘크린스(CLINS)’ 주거공간·상업시설 신제품 수전 4종 선보여
- [인터뷰①] ‘연인’ 안은진 “남궁민=남궁장현, 애틋한 멜로 파트너”
- 사상 첫 수출 1조 돌파…라면 전성시대 [BUSINESS]
- ‘사실상 열애’ 블핑 리사·재벌 2세, 파리가 만남의 광장? 이번엔 이강인 경기 관람[MK★이슈] -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남태현과 마약’ 서민재 “나와 가족 직업·명예 다 잃어”(‘추적 6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