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기 '어린이·2030 여성' 정신건강 적신호 두드러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면서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신현영 의원은 "코로나 장기화로 전 국민이 코로나 우울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 중 가장 취약한 소아청소년과 2030 여성에게서 정신건강 진료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며, "이제는 단계적 일상 회복을 준비 적용해야 하는 시점에서, 우울과 스트레스 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국민 신체, 정신건강유지 및 빠른 대처를 위해 국가적인 제도의 기반을 마련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코로나19가 장기화면서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어린이와 2030세대 여성의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현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우울증 및 스트레스 진료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 횟수가 2030 여성들은 코로나19 시기에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소아청소년의 경우 올해 코로나 2년차 접어들면서 진료 횟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우울 관련 진료의 경우 20대와 30대에서는 2020년 22.7%, 8.7%로 증가했고, 2021년 11.4%, 10.5%의 증가해 매년 우울 관련 진료량이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증가세는 여성에서 두드러졌다. 9세 이하의 경우 올 상반기 32.4%로 증가하였으며, 10대에서는 2020년 상반기 -9.0%로 감소하다가 올해 상반기 17.4%로 증가했다.
스트레스 관련 진료 현황을 살펴보면, 코로나 이후 20대에서 35.2%로 가장 큰 폭으로 진료량이 증가했다. 그 중 여성에서 49.0% 증가했다. 40대의 경우 남성에서 25.6% 증가해 여성(23.2%)보다 증가폭이 컸다.
신현영 의원은 "코로나 장기화로 전 국민이 코로나 우울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 중 가장 취약한 소아청소년과 2030 여성에게서 정신건강 진료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며, "이제는 단계적 일상 회복을 준비 적용해야 하는 시점에서, 우울과 스트레스 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국민 신체, 정신건강유지 및 빠른 대처를 위해 국가적인 제도의 기반을 마련 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LB·일본서 뛰었던 세라피니, 장인 살해 혐의로 최대 종신형 가능성
- "성관계 중 나도 모르게 대변이"..30대女, 원인 알 수 없어 '참담' [헬스톡]
- 왜 배달기사가 집 안까지…아내는 이것에 빠졌버렸다
- "대통령 온 줄 알았다" 이만희 차량 뜨자 길막하고 황제 의전
- 796명 영아 시신, 수녀원 폐하수조서 발견…아일랜드 유해 발굴 착수
- "이혼녀가 남자 꼬시는 수법?"..2주 집 비웠는데 냉장고에 '낯선 반찬' [헤어질 결심]
- 신지, '문원 딸 재산 상속' 우려 댓글에 "그런 일 없을 것"
- 장근석, 갑상선암 투병 고백 "가족에게도 말못했다"
- '옥중화'·'파도야 파도야' 강서하, 투병 끝 사망…향년 31세
- '尹 재구속' 남세진 부장판사는 누구…'차분·합리적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