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美 테이퍼링·中 헝다 사태.. 국내 파장 대비할 때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과 중국 발 악재가 꼬리를 물면서 한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먹구름이 몰려오고 있다.
추석 연휴 때 글로벌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트렸던 중국 2위 부동산업체 헝다 그룹의 파산위기도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중국 당국도 시장 개입을 기피해 헝다는 조만간 파산 절차에 돌입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당장 헝다 사태는 중국 부동산 침체와 경제 경착륙으로 이어지며 그 불길이 국내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으로 전이되지 말란 법이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추석 연휴 때 글로벌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트렸던 중국 2위 부동산업체 헝다 그룹의 파산위기도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헝다 그룹은 부도 위기를 간신히 넘기고 있는 실정이다. 빚이 무려 350조원에 달하고 협력업체에 공사대금도 주지 못할 정도로 극심한 자금난에 시달린다. 중국 당국도 시장 개입을 기피해 헝다는 조만간 파산 절차에 돌입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헝다가 파산할 경우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은 가늠하기 힘들다. 이번 사태가 과거 리먼브러더스나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LTCM) 파산에 버금가는 재앙을 야기할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오는 판이다.
어제 국내 증시는 소폭 하락에 그쳤고 원·달러 환율도 달러당 1170원대를 유지했다. 미국의 테이퍼링은 예견된 일이고, 헝다의 대출 규모도 중국 은행 대출총액의 0.3% 수준으로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인식이 퍼진 탓이다. 안심하기는 이르다. 외풍에 취약한 한국경제는 타격이 클 것이다. 당장 헝다 사태는 중국 부동산 침체와 경제 경착륙으로 이어지며 그 불길이 국내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으로 전이되지 말란 법이 없다. 천정부지로 치솟은 집값이 하락세로 돌변하고 가계부채발 신용경색 사태가 현실화할 수도 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도 “글로벌 통화정책 정상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헝다 그룹과 같은 시장불안 요인이 갑작스럽게 불거질 수 있다”고 했다.
긴장의 끈을 놓을 때가 아니다. 정부와 한은은 헝다 그룹 사태와 미 통화정책 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국내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수출, 내수, 금융, 외환 등 모든 분야에서 최악의 경우까지 상정한 비상대응 방안을 짜기 바란다. 금리 인상 등을 통해 시중에 풀린 과도한 유동성을 줄이고 경제와 금융의 기초체력을 키우는 것 역시 소홀히 해서는 안 될 일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종민, 18년 함께한 ‘1박 2일’ 하차? → 제작진 “긍정적으로 논의”
- 김혜경 여사, ‘90도’ 인사하는데…‘李 선배님’ 권성동, 못 본 척?
- “연봉 2억2000만원, 사택에 휴가비까지?”…여기가 진짜 ‘넘사벽’ 직장입니다
- “시험관까지 하고 싶지 않아”...이효리, 2세 계획 발언에 누리꾼들 ‘시끌’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
- 이미주, 김희철과 1주년 자축 “온갖 텃세 참으며 활동...오래갈 줄 몰라”
- ’76세’ 전유성, 몰라보게 야윈 얼굴...조혜련 “마음이 울컥, 건강하시길”
- 혜은이, 스캔들 → 사망설까지...도 넘은 가짜뉴스에 황당 “연예인 해야 하나”
- 소지섭 닮은 신랑과 결혼 두 달 만에…티아라 효민 ‘별거’ 고백, 무슨 일?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