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은 '리스크' 언급..성남시 문건엔 "사업 타당성 있음"
[앵커]
대장동 지구 개발 사업과 관련해 이재명 경기지사는 손해가 났다면 민간사업자들이 '리스크'를 모두 감당했을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YTN이 확보한 성남시장 시절 이 지사가 결재했던 문건은 물론, 당시 금융기관의 투자 설명 문건에도 대장동 개발 사업의 리스크가 크지 않다는 언급이 여러 차례 나오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정미 기자입니다.
[기자]
수천억 대 개발 수익을 개인들이 가져간 대장동 지구 개발 의혹에 이재명 지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재명 / 경기지사(지난 14일) : 이익 규모가 좀 늘어난 거 같습니다. 그리고 우리 입장에서는 확정 개발 이익을 최우선 배당하기로 약정했기 때문에 나머지 손해나면 그분들이 부담하는 거예요. 위험 부담하는 거죠.]
결과적으로 땅값 때문에 이익이 커지긴 했지만, 만약 손해가 났다면 이 역시 민간 업자들이 감당했을 거라는 겁니다.
성남도시개발공사도 리스크 때문에 우선 배당을 선택하는 대신 배당금에 상한선을 설정한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성남도시개발공사 관계자 : 그때 당시에 저희가 이 사업을 하겠다 했을 때 시의원분들이 이거 적자 나면 책임질 거냐, 지금 상황이 적자다 이런 류의 말들이 되게 많이 나왔었어요.]
하지만 사업 추진 당시에도 리스크가 거의 없었다는 게 여러 공식 문건에서 확인됩니다.
당시 성남시장이던 이재명 지사가 결재까지 했던 출자 승인 문건입니다.
용역 결과, 수익률 6.66%, 경제성 분석도 1을 넘어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당시 시행사인 '성남의 뜰'에 9천억 원 대출을 심사했던 금융기관에서도 판교신도시 남단이라 입지여건이 우수하고 수요가 많아 분양 위험성이 적다고 판단하면서,
인허가권자가 성남시장이라는 점, 성남도시개발공사가 추진한다는 점까지 언급하며 인허가 역시 무난하게 될 거라는 예상을 덧붙였습니다.
물론, 리스크가 적었던 이유는 성남도시개발공사가 참여해 공공 형식으로 진행하면서 토지 수용이 쉬워졌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또, 지지부진하던 개발 사업이 성남시의 개입으로 속도를 내게 된 것은 어느 정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즉 위험성이 컸기에 이익도 커졌다는 이재명 캠프의 설명은 쉽게 납득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YTN 이정미입니다.
YTN 이정미 (smiling37@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및 예방접종 현황을 확인하세요.
연예인 A씨와 유튜버의 싸움? 궁금하다면 [웹툰뉴스]
깔끔하게 훑어주는 세상의 이슈 [와이퍼]
- [속보] 연대 앞서 SUV가 횡단보도 건너던 행인 치어..."최소 6명 부상"
- "기후 변화 중요"...BTS가 유엔서 입은 국내 브랜드 정장에 담긴 뜻
- 美 뉴욕 시민, 피자 가게서 산 복권이 5천억 원 당첨
- [자막뉴스] 라팔마섬 '화산 용암 분출' 대재앙 ...대서양이 위험하다
- [취재N팩트] "기분 나쁘니 오늘 좀 맞자"...만취 남성들의 '묻지마 폭행'
- 9살 어린이 아파트 22층에서 추락해 사망
- 北 발사 실패 이틀 후 싹 사라져..."누리호보다 먼저 쏘고 싶었을 것" [Y녹취록]
- 타이완해협 신경전 美 "누군가 다칠 것"...소통채널 확보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