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령층·고위험군 부스터샷 긴급승인..추가접종 고민깊은 당국

김지훈 입력 2021. 9. 23. 18:36 수정 2021. 9. 23. 19:4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정부 '4분기 접종계획' 27일 발표
고위험군 추가접종 내용 등 담겨
일정은 일러야 내년 2월 이후 될듯
고감염위험군은 올해안 가능성도
전문가 "청장년층은 좀 지켜봐도 돼"
23일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문화체육센터에 마련된 코로나19 백신접종센터를 찾은 시민들이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고령자와 고위험군, 고감염위험군에 대해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부스터샷)을 긴급 승인했다. 국내에서도 오는 27일 고위험군과 면역 저하자를 중심으로 한 추가접종 계획을 담은 4분기 접종계획이 발표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다만 50대 이하 청장년층 등 인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추가접종은 추가접종의 이익이 어느 정도인지 연구 결과 등을 지켜보고 판단해도 늦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미 식품의약국이 22일(현지시각) 미국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개발한 백신에 대해 추가접종을 승인하고, 접종 대상자는 65살 이상, 18~64살 연령층 중 중증 발병 위험이 큰 집단과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큰 직업군으로 정했다고 <에이피>(AP) 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에 따라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자문위원회의 별도 권고가 나오면, 미국은 실제 추가접종에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재닛 우드콕 식품의약국 국장 대행은 보건 종사자, 교사, 식료품점 점원, 노숙자 쉼터 거주자와 재소자가 추가접종 대상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우드콕 국장 대행은 “우리는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에 대해 점점 더 많은 것을 알아가고 있다”며 “빠르게 바뀌는 과학에 대해 계속 평가해 공개할 것”이라고 덧붙여, 이후 접종 대상이 변경될 가능성도 열어뒀다.

다만 미 식품의약국의 이날 결정은 애초 조 바이든 행정부의 추가접종 계획에서 후퇴한 내용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화이자와 모더나의 백신 접종을 마친 지 8개월이 지난 모든 국민에게 추가접종을 실시하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보편적 추가접종에서 고위험군 중심의 추가접종으로 대상을 한정한 셈이다.

국내 부스터샷 접종계획, 27일 발표

이는 국내 접종계획과 같은 흐름이다. 앞서 질병관리청도 오는 4분기에 고위험군과 면역 저하자부터 추가접종을 하겠다는 방향을 밝혔다.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질병청 예방접종전문위원회는 지난 8월 “접종 완료 6개월 이후에 추가접종을 하고, 면역저하자 등은 6개월 이전이라도 우선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권고했다. 추가접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오는 27일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에서 발표할 4분기 접종계획에 담길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고위험군과 면역저하자 등에 대해서는 추가접종이 필요하지만, 50대 이하 청장년층 등 인구 전체에 대한 추가접종은 관련 연구결과를 기다려보고 접종 이익을 따져본 뒤 결정해도 늦지 않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50대 연령층이 접종을 시작한 것은 지난 7월 말이어서, 질병청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권고와 2차 접종 일정 등을 따지면 이들의 추가접종은 일러야 내년 2월 말 이후에야 가능하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예방의학)는 “추가접종자에서 심근염 등 이상반응 발생 자료가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며 “고위험군은 접종 이익이 위험을 압도하지만, 청장년층에선 얼마나 이익이 큰지 아직 모르겠다고 (미 식품의약국이)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교수(감염내과)도 “아직 고위험군 외에 어떤 인구 집단에 추가접종이 필요한지 정교한 연구 결과가 없다”며 “접종에 드는 물적·인적 비용을 고려했을 때 청장년층까지 추가접종해서 얻는 이익이 크다고 볼만한 근거가 현재로선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감염내과) 역시 “추가접종이 어느 정도 감염 위험과 중증화를 낮춰주는지 아직 명확하게 나오지 않았다”며 “접종 근거가 쌓이는 데 따라서 추가접종 대상이 넓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돌파감염 가능성이 있는 코로나19 치료인력과 사회필수인력 등 고감염위험군 일부에 대해서는 올해 안에 추가접종 가능성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지난 22일 기준 누적 돌파감염 추정사례는 국내 접종완료자 1461만여명 가운데 0.04%(5880명)다. 돌파감염 중 위중증 환자는 68명, 사망자는 28명이 나왔다. 정 교수는 “코로나19를 직접 진료해서 노출 빈도가 높아 돌파감염 가능성이 있는 의료인력에 대한 추가접종은 필요성이 명확하지만, 119구급대원이나 경찰관 등에도 필요한지는 좀 더 판단할 자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내년 접종을 위해 화이자와 모더나 등 엠아르엔에이 백신 8천만회분과 국산 백신 1천만회분 확보를 위한 예산을 편성하고, 화이자 백신 3천만회분의 경우 계약까지 마친 상태다. 다만 이는 추가접종 대상을 확대하지 않더라도 정기 접종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엄 교수는 “추가접종에 대한 논의와 별개로, 접종 뒤 1년이 지나면 예방 효과가 감소해 독감(인플루엔자)처럼 정기 접종이 필요할 것이기 때문에 내년도 백신은 충분히 확보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신기섭 선임기자 watchdog@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