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기금도 외면한 서울 장기임대주택..융자 4년새 '67%↓'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장기공공 임대주택 융자에 투입된 주택도시기금이 2017년부터 해마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국의 장기공공 임대주택을 위한 재원은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국민임대·행복주택 등 저금리 장기임대 주택이 대체로 수도권 외 지역에 쏠리면서 주택도시기금이 서울 장기공공 임대주택에 조달하는 금액도 줄어드는 셈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장기공공 임대주택 융자에 투입된 주택도시기금이 2017년부터 해마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국의 장기공공 임대주택을 위한 재원은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집값이 급등하는 서울에서 취약계층의 주거 불안이 심화되는 현실을 그대로 나타난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23일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광재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주택도시기금 상품별 사용내역' 자료에 따르면 주택도시기금이 지난해 서울 국민임대·행복주택 융자에 투입한 재원은 957억2800만원으로 2017년(2939억9100만원) 대비 67.43% 줄었다. 2018년에는 1638억1100만원, 2019년에는 1232억700만원으로 해마다 감소세를 보였다.
국민임대주택은 30년 거치하고 15년간 원리금을 균등 상환하는 주거 형태로 장기 공공임대 주택으로 꼽힌다. 대출금리도 연 1.5%로 저렴하게 책정돼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 공급 수단으로 꼽힌다. 전용면적 35㎡이하 , 35∼45㎡, 45∼60㎡이하 등이다. 행복주택도 마찬가지다. 30년 거치 및 15년 원리금 균등 상환하는 것으로 대출금리도 1.5%로 동일하다. 전용면적 60㎡이하 주택이 대상이다.
반면 전국 국민임대·행복주택 융자에 투입된 주택도시기금 규모는 2017년 1조5122억원에서 지난해 2조1609억원으로 42.89% 급증했다. 2018년에는 1조4561억원, 2019년에는 1조8779억원으로 집계됐다.
핵심 이유는 수요 부족이다. 서울에 주거 취약자를 위한 저금리 장기임대 주택 물량 자체가 적다는 게 전문가들 설명이다. 국민임대·행복주택 등 저금리 장기임대 주택이 대체로 수도권 외 지역에 쏠리면서 주택도시기금이 서울 장기공공 임대주택에 조달하는 금액도 줄어드는 셈이다.
문제는 장기공공 임대주택의 감소세가 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다. 전문가들은 주택 수요가 높은 수도권에 장기 임대주택을 충분히 제공해주지 않으면서 부동산 가격 폭등 현상이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정성훈 대구가톨릭대 경제금융부동산학과 교수는 "최근 부동산 폭등은 전체 주택 시장에서 장기임대주택 등 공공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서 생긴 현상으로도 볼 수 있다"며 "공공주택이 없으니 사람들이 민간주택으로 쏠리고 그 결과 전·월세 값과 집값이 올라간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주택도시기금의 성격상 공공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주택도시기금은 지난해말 기준 100조3031억원을 조성해 임대 및 분양주택 건설은 물론 각종 공공주택의 융자사업에 투입했는데 이 중 21조1701억원이 청약저축 자금으로 조성됐다.
정 교수는 "이어 "정부가 주도해서 후암동 등 서울의 낙후된 지역에 장기 임대주택을 공급해야 (수도권 주택 가격이) 안정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주택도시기금의 재원은 공적 기금인 만큼 (장기임대주택이 공급되면) 저비용으로 입주하려는 서민들을 위한 대출 재원을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수도권의 높은 주택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선 장시간이 소요되는 공공 주도 대신 민간 주도로 주택 총량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공공주택 100채를 지을 시간에 민간주택 1000채를 지을 수 있다"며 "전세계 주택 시장에서 민간이 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도 지금으로선 (민간 주택을 짓는 게)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간 주도가 주거 취약 계층을 위한 방안이 되긴 어렵다는 목소리도 있다. 정 교수는 "수익성이 나오지 않는 임대주택의 경우 재개발·재건축 조합원의 반발이 심할 뿐만 아니라 민간 업체가 사업 참여를 위해 뛰어들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민간 임대주택은 몇 년을 임대하는지,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지 등이 불확실하기도 하다"며 "결국 주거 취약자들이 (수도권에 주거 공간을 마련하려면) 공공이 역세권의 용적률을 올려서 주택을 개발하거나 민간이 꺼리는 낙후된 지역에서 주택을 개발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단독]"10년 쓴 내 번호 '오징어게임'에…밤낮 전화와" 고통 호소 - 머니투데이
- "운동하러 왔지 빨래하러 왔냐"…구단 악습 없앤 '갓연경' 일화 - 머니투데이
- '나혼산' 기안84 끝까지 감싼 남궁민 재조명…박나래 질문엔 비판 - 머니투데이
- 여고생 콘돔 사간 뒤 찾아온 엄마…"임신하면 책임질 거야?" 난리 - 머니투데이
- 유재석이 "정상 아니니 건드리지 말자" 했던 연예계 센 언니 누구? - 머니투데이
- 박수홍 "집, 자가 아냐 값싼 동정 필요"…지금 상황 어떻길래 - 머니투데이
- 독일 차량 돌진 테러범은 '이슬람 혐오증'… 당국, 4차례 사전 경고 무시 - 머니투데이
- 블랙박스에 수상한 소리…"아내는 '아이스크림 먹었다' 거짓말" - 머니투데이
- 이재명 "군용 차량 맨몸으로 막은 이분 꼭 찾아달라" - 머니투데이
- 승계 제대로 했나?… 은행권 CEO 물갈이에 점검나선 금감원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