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판사나 정치인 될 수 있을까"..과기정통부 AI 법·제도 세미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인공지능(AI)의 법적지위, 어디까지?'를 주제로 한 AI 법·제도 공개세미나를 개최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2월 'AI 법·제도·규제 정비 로드맵'을 마련한 이후 관련 전문가 작업반을 통해 주요 이슈별 연구과제를 추진중이다.
이번 세미나에선 AI가 법·제도상 하나의 인격으로 "판사 또는 정치인이 될 수 있는지", "세금 납부의무를 지는지", "AI가 후견인이 될 수 있을지" 등을 주제로 토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인공지능(AI)의 법적지위, 어디까지?'를 주제로 한 AI 법·제도 공개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는 인공지능 법·인문사회·기술분야 전문가와 관련 민간 인사가 참여한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2월 'AI 법·제도·규제 정비 로드맵'을 마련한 이후 관련 전문가 작업반을 통해 주요 이슈별 연구과제를 추진중이다. 매월 공개세미나를 개최해 관련 학계와 업계, 국민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이번 세미나에선 AI가 법·제도상 하나의 인격으로 "판사 또는 정치인이 될 수 있는지", "세금 납부의무를 지는지", "AI가 후견인이 될 수 있을지" 등을 주제로 토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또 10월 중 민간 자율적인 AI 관리·감독 환경 조성을 지원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안) 마련 방향을 모색할 계획이다.
11월에는 'AI 행위에 대해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을지?'를 주제로 AI 불법행위의 과실책임주의와 AI 관련 범죄의 특징, 제재 방안을 논의한다. 12월에는 "고위험 AI는 무엇인지"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한다.
세미나는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되며 질의응답을 통해 국민의 생생한 의견을 수렴한다.
과기정통부 박윤규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정부의 직접적 규제에 앞서 알고리즘·데이터 특성과 새로운 기술과 현행 법제도의 간극, 시장의 발전 상황 등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각 계 전문가, 국민의 의견을 모아 공고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단독]"10년 쓴 내 번호 '오징어게임'에…밤낮 전화와" 고통 호소 - 머니투데이
- "운동하러 왔지 빨래하러 왔냐"…구단 악습 없앤 '갓연경' 일화 - 머니투데이
- '나혼산' 기안84 끝까지 감싼 남궁민 재조명…박나래 질문엔 비판 - 머니투데이
- 여고생 콘돔 사간 뒤 찾아온 엄마…"임신하면 책임질 거야?" 난리 - 머니투데이
- 유재석이 "정상 아니니 건드리지 말자" 했던 연예계 센 언니 누구? - 머니투데이
- 악재 끝 돌파구 찾았다…해외 건설 수주 '1조달러' 시대 눈앞 - 머니투데이
- [단독]매년 80만명 폐업하는데…체납세금 특례 받은 건 0.3%뿐 - 머니투데이
- "세계 최대 건설현장" 판 깔고 밀어주고…우크라에 '원팀 코리아' 간다 - 머니투데이
- "역시 게임 강국" LoL 정식종목 첫 금메달 '대한민국'…대만 2:0 완파 - 머니투데이
- 연료비 단가동결이 끝이 아니라고? 전기요금, 이렇게 책정한다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