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개발자 "코로나19, 더 치명적 변이 가능성 없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바이러스가 더 치명적으로 변이할 가능성이 없다는 전망이 나왔다.
세러 길버트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 22일(현지시간) 영국 왕립의학회 온라인 세미나에서 "바이러스가 감염력이 높아지면 보통 독성이 낮아진다"며 "점점 면역력이 강해지는 인구에 바이러스가 퍼지며 덜 치명적으로 변하는 경향을 갖게 되기 때문에 더 치명적인 코로나19가 나타날 것이라 생각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바이러스가 더 치명적으로 변이할 가능성이 없다는 전망이 나왔다.
세러 길버트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 22일(현지시간) 영국 왕립의학회 온라인 세미나에서 “바이러스가 감염력이 높아지면 보통 독성이 낮아진다”며 “점점 면역력이 강해지는 인구에 바이러스가 퍼지며 덜 치명적으로 변하는 경향을 갖게 되기 때문에 더 치명적인 코로나19가 나타날 것이라 생각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길버트 교수는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 옥스퍼드대가 개발한 백신의 핵심 연구자다. 길버트 교수는 코로나19 변이로 인해 백신이 무력화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그는 “갑자기 변이를 일으켜 백신에 내성이 생기거나 백신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길버트 교수의 이런 전망은 급격한 변이 발생이 불가능할 것이란 예측에 근거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체 세포에 침투할 때 ‘스파이크 단백질’을 필요로 한다. 길버트 교수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인체 세포에 침투하려면 세포 표면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 수용체와 상호작용을 해야 하므로 바이러스가 완전하게 변이할 수는 없다"며 “바이러스가 스파이크 단백질을 너무 많이 바꾸면 수용체와 상호작용이 안 되어 인체 침입이 안 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인체세포 침투를 위해 급격한 변이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는 게 길버트 교수의 전망이다. 그는 “그렇게 되면 바이러스가 면역력을 피하면서도 여전히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가 될 만한 곳이 아주 많지는 않게 된다”고 말했다.
길버트 교수는 코로나19가 결국 보통 감기와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다른 계절성 코로나바이러스와 비슷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길버트 교수는 “이 바이러스가 서서히 유전적 변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으나 다른 모든 계절성 코로나바이러스에 그랬듯이 사람들의 면역력이 점진적으로 발전할 것"이라며 "수십 년간 유행했으나 사람들이 잘 인지하지도 못하는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4종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결국 코로나19도 그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문제는 얼마나 오래 걸릴지, 그동안 어떻게 이를 관리할지"라고 덧붙였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