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대 연구팀, 씨앗 구조 모사한 전자소자로 '네이처' 표지 장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대학 연구팀과 미국 대학의 한국인 연구팀이 공동연구로 씨앗 구조를 본뜬 3차원 전자소자를 개발해 연구논문이 유명 과학저널 <네이처> 표지로 실렸다. 네이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김봉훈 숭실대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미국 노스웨스턴대 존 로저스 교수 연구팀의 김진태 교수 및 박윤석·장호경 연구원과 함께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개념의 3차원 전자소자를 개발해, 연구 논문이 <네이처> 23일(현지시각)치 표지에 실렸다"고 밝혔다. 네이처>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차원 소자 개념 첫 제시..환경오염 감시 가능해
한국 대학 연구팀과 미국 대학의 한국인 연구팀이 공동연구로 씨앗 구조를 본뜬 3차원 전자소자를 개발해 연구논문이 유명 과학저널 <네이처> 표지로 실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김봉훈 숭실대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미국 노스웨스턴대 존 로저스 교수 연구팀의 김진태 교수 및 박윤석·장호경 연구원과 함께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개념의 3차원 전자소자를 개발해, 연구 논문이 <네이처> 23일(현지시각)치 표지에 실렸다”고 밝혔다.
김봉훈 교수 연구팀은 바람에 실려 퍼지는 씨앗의 3차원 구조에서 영감을 얻었다. 연구팀은 생체모방 기술을 통해 복잡한 3차원 형태를 지닌 전자소자를 개발했다. 민들레 홀씨처럼 바람을 타고 들판에 퍼지는 원리를 이용해 넓은 지역에 퍼질 수 있는 초소형 3차원 전자소자 개념을 제시하기는 연구팀이 처음이다.
공기중에 비행을 통해 스스로 이동하는 로봇으로는 드론과 같은 큰 비행체나 초소형 전기모터를 활용한 수∼수십㎝ 크기의 비행로봇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기계부품과 복잡한 디자인 때문에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3차원 전자소자는 바람 에너지를 이용해 날아가는 무동력의 수동형 비행체다. 소자 크기는 수십㎛에서 수백㎛(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에 불과하다. 연구팀은 “특히 유체역학 실험을 통해 소형 비행체가 이동할 때 발생시키는 미세 난류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최적의 효율을 갖는 3차원 디자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3차원 전자소자를 산과 들판에 뿌리면 자연 오염 상태를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연구팀은 실제로 3차원 전자소자에 공기중 미세먼지 농도를 정밀 측정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전기회로를 결합해 환경오염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김봉훈 교수는 “우리나라처럼 산지가 많은 지형을 대상으로 새로운 형태의 환경오염 감시가 가능한 차세대 로봇·비행체를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집값 급등, 지금까지 집 안 샀던 30·40대 이제는 못 살 지경 됐다
- 고발장 전달 직전, 그 검사들은 왜 카톡 단체방에 모였나
- [아침햇발] 자영업자 잇단 사망은 ‘사회적 타살’이다 / 박현
- ‘테스형’ 이어 ‘뉴 심수봉’…내년엔 누구와 위로 나눌까
- “비봉이를 바다로…퍼시픽랜드 돌고래쇼 중단하라”
- 코로나19 속 고소득층 최대 흑자…불평등 키우는 ‘역대급 저축률’
- 배터리 인재 어디 없소…미국으로 날아간 CEO들
- 양조위, 애잔한 ‘눈빛의 역주행’…세대·국경 넘어 통했다
- ‘추석연휴 방역지침’ 종료…내일부터 몇명까지 모일 수 있나요?
- 사람은 언제 어떻게 ‘꼬리’를 잃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