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의혹, '셈법'에 따라 다른 민주당 대선주자들 대응

곽희양 기자 2021. 9. 23. 15: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후보들이 지난 1일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단지 내 스튜디오에서 열린 오마이뉴스 주관 6차 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들이 이재명 경기지사의 ‘성남시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에 대해 각자 셈법에 따라 사뭇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여권 지지율 1위인 이 지사를 추격해야 하는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는 야당의 특별검사 도입 요구는 반대하면서도 이 지사의 입증을 요구하며 이 지사 흠집내기 소재로 활용하고 있다. 3위 주자인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의혹 자체가 부당한 공세라며 이 전 대표를 견제하는 도구로 사용한다. 하위권인 김두관 의원은 “후보들의 공동대응”을 주문하며 자신의 몸값 올리기에 힘쓰고 있다.

이 전 대표는 특검 도입이라는 야당의 공세는 반대하되 의혹에 대한 입증은 이 지사가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전 대표는 지난 22일 연합뉴스TV 인터뷰에서 “말을 아끼겠다. 저희는 같은 당 동료이기 때문에 공세를 극도로 자제하고 있다”면서도 “국민의 의심이나 분노를 해소하지 않고는 당에도 부담이 되고 후보에게도 짐이 된다. (의혹을)빨리 벗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야당의 특별검사와 국회 국정조사 요구에 대해선 “정략적 공방 가능성이 있다”며 반대의 뜻을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울산시의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민간토지는 현행과 같이 민간과 공공이 참여하되 개발이익을 최대 50% 환수하고, 공공토지는 민간의 개발 참여를 금지겠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공공이 소유한 토지를 활용해 민간업체가 이(대장동 개발)처럼 막대한 부동산 이익을 챙겼다는 것은 정의롭지 않다”고 말했다.

이는 경선에 참여하는 민주당 지지층의 반발을 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장동 의혹을 공격 카드로 쓰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 전 대표가 이 지사를 거칠게 공격할 경우 ‘경선 승리를 위해 야당에 부화뇌동하는 후보’로 비칠 수 있다. 동시에 야당의 공세가 격화될수록 이 전 대표가 얻을 반사이익도 커지게 된다.

이 전 대표를 추격하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대장동 의혹을 이 전 대표를 공격하는 소재로 활용하고 있다. 추 전 장관은 이날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검(찰)·언(론)·정(치 카르텔)은 이것(윤석열 전 총장의 고발 사주 의혹)을 대장동 의혹 사건으로 덮으려 한다”며 “이낙연 후보 쪽 캠프 인사들은 이걸 가지고 (이 지사를) 공격을 하니까 (야당의) 물타기 프레임 전환을 도와주는 꼴이 됐다”고 말했다. 추 전 장관은 이 전 대표가 검찰개혁에 소극적이었다고 재차 주장하며, 자신의 개혁 이미지를 강조했다.

한 자릿수 대 누적 득표율을 보이고 있는 박용진·김두관 의원은 보다 차분히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박 의원은 이날 전남 나주시에서 열린 광주·전남혁신도시 노동조합 간담회에서 “(이 지사가 의혹과 관련해)돈을 받았다고 생각한 적이 없다”며 “(대장동 사업의)정책적 설계와 관련한 정책적 답을 (이 지사가) 주시면 좋은데 정책적으로 접근하지 못해 아쉽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SNS에 “대장동이 이제와서 난장판 소재가 된 이유는 오로지 마타도어 때문”이라며 “우리 민주당 후보 모두가 이런 정치적 공격에 대해 단호히 반대의 입장을 공동으로 주장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날 김 의원의 제안을 이어 받아 “우리당 후보들의 공동대응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곽희양 기자 huiyan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