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고용시장 완화 도움"이라던 디지털댐 신규 일자리, 77%가 저임금 단기 알바

김승현 기자 2021. 9. 23. 15: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가 지난해 7월부터 시작한 디지털 뉴딜 사업의 일자리의 77%가 월 60시간짜리 단기 일자리였고, 월급은 62만~11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23일 확인됐다.

지난해 10월 열린 제5차 디지털 뉴딜반 회의 모습. /뉴시스

국민의힘 김영식 의원실이 과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과기부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8월 말까지 진행한 디지털 뉴딜 사업 중 하나인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데이터댐)’ 신규 일자리는 5만3080개였다. 그 중 정규직인 직접 고용은 1만2528개로 23%에 불과했다.

나머지(4만552명)는 평균 월 60시간을 일하는 단기 근로 형태인 ‘크라우드 소싱 참여 인력’이었다. 이들은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가공, 검수하는 역할을 한다.

월평균 보수도 낮은 수준이었다. 지난해 크라우드 소싱 참여 인력 3만1395명 중 75%인 2만3560명이 월 50만원 미만을 받았다. 월평균 보수 수준은 62만원이었다. 올해(2021년 1월부터 8월까지의 고용)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총 9157명 중 49.7%인 4549명이 월급 50만원 미만을 받았다.

특히 올해는 참여 인력 중 미취업자가 아닌 재직자가 38%를 차지해, 취업에 도움을 주겠다는 당초 정책 취지와는 동떨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디지털 뉴딜 사업은 정부가 지난해 7월 코로나 이후 경기 회복을 위해 ‘한국판 뉴딜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한 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이었다. 과기부는 지난 1월 디지털 뉴딜 주요 성과를 발표하면서 “데이터 댐 사업, 디지털 포용 관련 사업에 참여하는 디지털 일자리 참여 인력이 4만9000여명”이라며 “고용 시장 어려움을 완화하는데 기여했다”고 홍보한 바 있다.

김 의원은 “현 정부는 디지털 뉴딜이 코로나 경기침체와 일자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국가혁신 프로젝트라고 홍보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이같은 저임금 일자리 양산은 고용절벽과 경제파탄을 겪고 있는 국민을 두번 우롱하는 일”이라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