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 게임', 22개국서 1위 달성

2021. 9. 23. 08: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미국 톱 10 콘텐츠 1위..한국 드라마로는 처음
로튼토마토닷컴 최고 점수 신선도 100% 받아
"생존 경쟁 현실 반영" vs "지루하고 억지스러워" 엇갈린 반응..표절 시비도

한국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22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추석 연휴 동안 마땅한 화제작이 없었던 영화나 TV 예능의 빈자리를 '오징어 게임'이 메웠습니다. SNS에서는 시청 후기 등 작품과 관련된 여러 글이 줄지어 올라왔습니다.

오징어 게임은 456억 원 상금이 걸린 의문의 서바이벌 게임에 참가한 사람들이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목숨을 걸고 도전하는 이야기입니다.

변변한 직장도 없고 간혹 생기는 돈은 경마로 날려버리는 성기훈(이정재),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수재에 여의도 투자회사에 다니며 성공한 줄 알았지만 잘못된 투자로 빚더미에 앉은 조상우(박해수)를 비롯해 탈북 브로커에게 돈을 사기당한 강새벽(정호연), 조직 보스 돈을 도박으로 날려 먹은 장덕수(허성태) 등 다양한 인간 군상이 등장합니다.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같은 낯익은 놀이의 탈락자는 죽음을 맞이하는 게임 방식으로, 극한에 처한 인간의 내면을 응시한 작품입니다.

17일 공개 이후 한국은 물론 해외에서도 반응이 터졌습니다. 원제를 그대로 영어로 옮긴 '스퀴드 게임(Squid Game)'이라는 제목으로 유통된 오징어 게임은 넷플릭스 미국 톱 10 콘텐츠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한국 드라마로는 처음입니다. 기존 최고 성적을 낸 '스위트홈'(3위)을 넘어선 인기입니다.

오징어 게임은 현재 83개 국가에서 방영 중입니다. OTT 콘텐츠 순위 집계 사이트인 플릭스 패트롤 집계에 따르면, 21일 기준 미국 외에도 홍콩, 대만, 인도네시아, 태국, 자메이카, 쿠웨이트 등 22개국에서 1위에 올랐습니다. 일본, 러시아, 호주, 영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등에서는 2위에 올랐습니다. 21일 기준 전 세계 넷플릭스 시리즈 인기 순위 2위를 차지했습니다.

작품 만족도를 신선도로 평가하는 미국 로튼토마토닷컴에서도 최고 점수인 신선도 100%를 받는 등 좋은 평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유명 인사들의 인증샷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과 배우 이병헌 등이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관련 게시글을 올렸습니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소속 제시 린가드도 오징어 게임을 시청 중인 모습을 인스타그램에 올렸습니다.

허경영 국가혁명당 명예대표는 오징어 게임을 패러디해 대선 공약을 알리기도 했습니다. 드라마 포스터를 활용해 '게임의 룰은 간단합니다. 허경영 득표율 50% 이상 당선 시 18세 이상 모든 국민에게 1억 원+매월 150만 원 지급'이라고 적었습니다.

오징어 게임은 독특한 설정 외에도 현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가 인기를 얻는 데 한몫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사람을 아무렇지도 않게 죽이지만 게임 관리자들은 '평등'을 강조합니다. "바깥세상에서 불평등과 차별에 시달려온 사람들이기에, 평등하게 싸워서 이길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주는 것"이란 주장입니다. 그러나 이들을 지켜보고 통제하는 분홍 옷 '가면인들' 사이에도 명확한 계급이 존재합니다. 그 위에는 게임을 설계한 자들이 별도 위계로 존재합니다. 이들의 '평등'은 '고착된 계층 안에서의 평등'일 뿐입니다.

폭발적인 반응과는 별도로 시청자 반응은 호불호가 엇갈립니다. "목숨 건 생존 경쟁의 현실과 다를 게 없다"며 공감하는 반응도 있지만 "지루하고 억지스럽다"는 반응도 있습니다. 황동혁 감독이 "2009년에 쓴 대본이고, '신이 말하는 대로'는 2011년에 공개된 작품이라 뭘 보고 베꼈다는 말은 맞지 않는다"고 제작발표회에서 이미 밝혔지만, 여전히 일본 영화 '신이 말하는 대로'와 유사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일본 유명 만화 '도박묵시록 카이지'와 비슷하다고 지적하는 반응도 있습니다. 1996년부터 연재 중인 이 작품은 미래에 대한 희망없이 살아가는 주인공 카이지가 사기로 지게 된 막대한 빚을 해결하고자 거액을 주는 게임에 참여하는 내용입니다. 주인공 처지에 대한 설정부터 배를 타고 고립된 공간에서 게임이 벌어진다는 점, 거액을 주지만 게임에 패배하면 참혹한 대가를 치른다는 점 등이 유사한 요소로 꼽힙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오징어 게임에 대해 "빚이 주요 동기로 나오지만 탈북자의 고충, 폭력 피해자 등 여러 사연을 담았다"며 "누군가를 제거해야 내가 살아남는 서바이벌 게임을 토대로 한국 사회가 가진, 약자를 굴려서 자본화하는 구조에 대한 비판적 은유를 날카롭게 드러냈다"고 평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