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장동 의혹' 눈덩이처럼 커지는데 수사의지 안 보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경기지사가 성남시장 시절 추진한 대장동 개발 사업을 둘러싼 특혜 의혹이 꼬리를 물고 있다.
이번엔 사업 시행사인 화천대유자산관리의 고문으로 일했던 권순일 전 대법관이 회사에서 한 역할을 둘러싼 의혹이 불거졌다.
권 전 대법관은 "전화자문 정도만 했고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았다"며 "화천대유가 어디 투자했는지 전혀 알지 못하고 대장동 사업 관련 자문한 적은 없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어제 권 전 대법관의 위법 의혹을 제기했다. 권 전 대법관이 전화자문만으로 월 1500만원을 받았다면 판사 시절 자신의 판결과 관련된 사후수뢰죄에 해당할 수 있으며, 변호사 업무를 수행하고 돈을 받았다면 변호사법을 어긴 것이라는 주장이다. 공직자윤리법은 대법관이 퇴직 후 3년간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업체에 취업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권 전 대법관이 지난해 9월 은퇴한 만큼 ‘고문료’를 받았다면 논란의 여지가 있다. 누구보다 앞장서 법을 지켜야 할 대법관 출신이 법을 어겼다면 지탄받아 마땅하고 상응하는 처벌을 받아야 한다. 철저한 수사로 진상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국정농단 사건을 수사했던 박영수 전 특별검사의 처신도 부적절하다. 그는 2016년 화천대유의 상임고문을 맡았다가 특검에 임명된 뒤 그만뒀고, 박 전 특검의 자녀도 이 업체에서 근무했다. 특정금전신탁 형식으로 대장동 개발 사업에 참여해 거액의 배당금을 받아간 천화동인 1∼7호 가운데 2명은 박 특검이 과거 대표변호사로 있던 법무법인 소속 변호사다.
이번 의혹은 여당 유력 대선주자와 관련된 만큼 국민적 관심이 큰 사안이다. 숱한 의혹들을 규명하려면 화천대유와 관련된 유명 법조인들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명백하게 밝혀내는 게 급선무다. 그런데도 서울 용산경찰서의 수사는 소걸음으로 일관하고 있다. 추석 연휴가 지나도록 아무런 진척이 없다. 경찰이 수사하는 시늉만 내고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 직무유기라는 비판을 들어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친정부 성향 간부들로 채워진 검찰 수사에 기대를 걸기도 어렵다. 이러니 국정조사나 특검으로 가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혜진 “제작진 놈들아, 정신 차리게 생겼냐”…前남친 전현무 등장에 분노 폭발
- 한덕수 탄핵 때 ‘씨익’ 웃은 이재명…“소름 끼쳐, 해명하라” 與 반발
- ‘미스터션샤인’ 배우 이정현, 돌연 기아 생산직 지원…‘평균연봉 1억2천’
- 선우은숙 “녹취 듣고 혼절”…‘처형 추행’ 유영재 징역 5년 구형
- “아내가 술 먹인 뒤 야한 짓…부부관계 힘들다” 알코올중독 남편 폭로
- “남친이 술 취해 자는 내 가슴 찍어…원래는 좋은 사람“ 용서해줘도 될까
- 코로나 백신 접종한 여성서 가슴 ‘매우 크게 증가’하는 부작용 보고
- 고경표, ‘무인사진관 음란행위’ 루머에 법적대응 “허위사실, 선처나 합의 없어”
- 황정음, 이혼 고통에 수면제 복용 "연예계 생활 20년만 처음, 미치겠더라"
- 은지원, 뼈만 남은 고지용 근황에 충격 "병 걸린 거냐…말라서 걱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