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프리즘] 당신의 마음을 읽는 기술
마비 환자가 로봇팔 사용하고
사람의 마음 읽기도 가능해져
신경윤리학적 고민 시작해야
전세계적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 1년간 취소와 연기 가능성 소식을 반복하던 2020 도쿄올림픽이 지난 7월 개최됐다. 8월 초 올림픽이 폐막되고 2주 뒤, 신체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벌이는 스포츠 축제인 패럴림픽이 이어 개최됐다. 1948년 참전 중에 척추손상을 받은 상이용사들이 모여 휠체어 경기를 하는 대회로 시작한 패럴림픽은 1976년에는 척수손상뿐 아니라 다른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로 문호가 확대됐고, 1988년 서울에서 개최된 올림픽부터 패럴림픽은 올림픽이 열린 바로 그 도시에서 여는 전통이 시작됐다.
이런 기술은 주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라는 분야 뇌공학자가 주도하는데, 이 분야는 컴퓨터가 본격 도입된 1970년대부터 뇌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며 시작됐다. 처음에는 주로 뇌 신호를 분석해 이를 외부장치에 전달하여 운동장애를 회복하는 데 활용했다. 2000년대에 들어 뇌 각 부위의 기능을 바탕으로 뇌지도를 만들어가며 BCI 신경보철물 제작이 더 정교해졌고, 이를 통해 아직 초기 단계이기는 하나 뇌 신호를 읽어주는 신경칩을 이용해 전신마비 환자가 로봇팔로 물을 마시거나 음식을 먹는 일이 가능해졌다. 뇌 신호를 분석하는 기술 발전으로 사람의 마음을 읽는 일도 가능해졌는데, 2011년 미국 버클리대의 잭 갤런트 교수 연구진은 사람 뇌 신호를 분석해 마음속에 떠올린 영상을 맞히는 기술을 처음 선보였다.
이후 2013년, 일본 첨단통신연구소(ATR)의 가미타미 유키야스 교수는 사람 뇌 신호를 분석해 그 사람 꿈속 사물을 맞히는 기술도 개발했다. 2016년 일론 머스크 박사는 ‘뉴럴링크’사를 설립해 사람 뇌 신호를 측정해 사람의 생각을 코드 분석(decoding)하고 이를 다시 사람에게 돌려주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인공지능(AI)의 도입으로 이 기술은 빠르게 고도화되고 있는데, 이 기술이 완성된다면 생각만으로 카톡을 보내거나 차를 운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런 뇌공학 기술의 발전은 긍정적인 면과 더불어 경계해야할 점도 있다. 왜냐하면 뇌 신호를 읽는 기술의 발전은 사람의 마음을 읽는 것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정말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우리는 공상과학 소설에서나 경험할, 인간의 정신이나 마음을 해킹하는 무서운 세상을 열게 될 수도 있다. 인간의 뇌 신호를 읽는 뇌공학 기술이 21세기 다이너마이트가 되지 않으려면,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는 선한 활용도를 높이는 노력만큼이나 신경윤리학적 측면의 범사회적 고민도 함께 시작해야 할 것이다.
문제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교수 뇌 인지과학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축의금은 10만원이지만…부의금은 “5만원이 적당”
- 빠짐없이 교회 나가던 아내, 교회男과 불륜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김문기와 골프사진? 조작됐다” vs “오늘 시장님과 골프
- 입 벌리고 쓰러진 82살 박지원…한 손으로 1m 담 넘은 이재명
- 회식 후 속옷 없이 온 남편 “배변 실수”→상간녀 딸에 알렸더니 “정신적 피해” 고소
- 일가족 9명 데리고 탈북했던 김이혁씨, 귀순 1년 만에 사고로 숨져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