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준 교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자문위원 위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국제자문단 위원이 됐다.
기재부 관계자는 "(장 교수의 AIIB 자문단 입성은) 향후 국제기구에서 한국 출신 전문가들의 활동 기회와 폭이 넓어지고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필요 시 자문 활동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국제자문단 위원이 됐다. 한국 출신 민간 전문가가 AIIB 자문위원을 맡는 첫 사례다.
2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AIIB는 장 교수를 국제자문단 신임 위원으로 위촉했다. 국제자문단은 AIIB의 전략·정책, 운영 방향 등 주요 이슈에 대한 자문에 응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국제금융, 경제, 개발 분야의 명망 있는 최고위급 전문가 10명으로 구성되고 임기는 2년이다.
앞서 한국 출신 인사 중엔 현오석 전 경제부총리,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 등 전직 고위 공직자가 AIIB 자문단에 참여한 적은 있지만, 민간 전문가로는 장 교수가 처음이다.
장 교수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케임브리지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은 후 1990년부터 케임브리지대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신자유주의 경제학에 대안을 제시한 학자에게 수여하는 ‘뮈르달상’, 경제학의 지평을 넓힌 학자에게 주는 '레온티에상'을 받아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2014년엔 영국의 정치평론지 프로스펙트(Propsect)에서 선정한 '올해의 세계적 사상가 50인'에 프랑스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 등과 함께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장 교수의 AIIB 자문단 입성은) 향후 국제기구에서 한국 출신 전문가들의 활동 기회와 폭이 넓어지고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필요 시 자문 활동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동욱 기자 kdw1280@hankookilbo.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정치의 계절... 욕먹어도 찾는 대구 서문시장과 구미 박정희 생가
- [단독] "뿌리 찾고 싶어" 한국계 유명 모델, 친부모 찾아 나섰다
- 민지영, 암 투병 고백 후 근황 "내가 무너지면…"
- 27년전 친구 구하다 숨진 10대… 법원 “현충원 안장 안 돼”
- 문 대통령, 마지막 비핵화 승부수는 '종전선언'... 중국에도 첫 제안
- 채찍으로 가축 몰이하듯... 아이티 난민 내쫓은 美 국경순찰대
- "문준용 특혜 받았다"던 윤석열 캠프 하루 만에 주장 철회
- "호남비하" vs "겉과 속 다르다는 뜻" 호남경선 앞 때 아닌 '수박 논란'
- 9억 이하에도 "중도금 대출 안돼요"... 분양시장 '현금부자' 잔치 되나
- 중국 헝다그룹 ‘운명의 날’, 부동산 재벌 몰락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