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플랫폼 규제 우려에 'BBIG' 휘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스피 3000시대를 이끌며 대표 성장주로 꼽힌 BBIG(배터리·바이오·인터넷·게임) 종목 주가가 부진의 늪에 빠졌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BBIG 4개 업종의 12개 종목으로 구성된 'KRX BBIG K-뉴딜지수'는 이달 들어 지난 17일까지 3746.03에서 3468.53으로 7.41% 하락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스피 3000시대를 이끌며 대표 성장주로 꼽힌 BBIG(배터리·바이오·인터넷·게임) 종목 주가가 부진의 늪에 빠졌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BBIG 4개 업종의 12개 종목으로 구성된 'KRX BBIG K-뉴딜지수'는 이달 들어 지난 17일까지 3746.03에서 3468.53으로 7.41% 하락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1.84%)와 코스닥(+0.75%) 등락률을 크게 밑도는 수치다.
현재 지수 구성 종목은 △2차전지 LG화학·삼성SDI·SK이노베이션 △바이오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SK바이오사이언스 △ 인터넷 네이버·카카오·더존비즈온 △게임 크래프톤·엔씨소프트·넷마블이다. 12개 종목 중 더존비즈온(27.20%)과 크래프톤(0.41%)을 제외한 10개 종목이 이달 들어 하락세를 보였다.
이에 지수 편입 종목의 시가총액 총합은 지난달 말 420조4723억원에서 현재 412조2307억원으로 8조2417억원 감소했다. 지난 9일에는 합산 시총이 388조6780억원까지 줄었다.
BBIG 각 업종지수 역시 이달 들어 일제히 등락률이 마이너스다. 업종별 10개 종목으로 구성된 △KRX 2차전지 K-뉴딜지수(-0.82%) △KRX 바이오 K-뉴딜지수(-7.60%) △KRX 인터넷 K-뉴딜지수'(-5.05%) △KRX 게임 K-뉴딜지수(-5.41%) 모두 하락했다.
지난해 코로나19 특수 등에 급등한 바이오주가 주춤하고, 중국발 게임 규제 리스크로 지난달부터 게임주가 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특히 게임 대장주로 꼽히던 엔씨소프트는 신작 게임 '블레이드앤소울 2'의 흥행 참패에 주가가 급락했다. 불과 올해 2월에 100만원을 넘나들던 주가는 현재 50만원대다.
여기에 최근 국내 온라인 플랫폼 규제 우려로 카카오와 네이버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지며 성장주 약세에 쐐기를 박았다. 2차전지주는 그나마 선방한 편이지만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은 각자 배터리 리콜, 배터리 사업 분할 등으로 이전과 비교해 부진했다.
증권가에서는 최근 성장주의 부진으로 금리 상승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이 화두로 떠오르자 평가가치(밸류에이션) 부담이 부각된 탓으로 분석한다. 성장주 투자에 불리한 환경이 이어지는 가운데 기업 또는 업종별 악재에 주가가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세계 주식시장에서 성장주의 대표 격인 아크 이노베이션 상장지수펀드(ETF)도 올해 2월 중순 고점 후 지금껏 내려가고 있다"며 "유동성 환경 변화가 성장주에 대한 펀더멘털(기초여건) 가정을 바꿨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식은 오를 환경이 마련되면 악재를 견디지만, 내릴 환경이 마련되면 악재에 민감하다"며 "최근 성장주에서 그 전형적 속성이 드러났다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여다정기자 yeopo@dt.co.kr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화가 현실로…이란 핵과학자, 원격AI 로봇 기관총에 완벽히 당했다
- 장제원 아들 벤츠 몰다 접촉사고…경찰관 머리도 들이받아
- "수상해, 김정은…쏙 빠진 살 보니 대역 쓴 듯" 도쿄신문, 의혹 제기
- 40대 자영업자 안타까운 죽음…실종 3개월만에 야산서 발견
- "미·영·호주, 6월 G7서 극비리 만남…마크롱만 왕따" 영국언론 폭로
- 장하준 교수 "SVB 파산은 2008년 금융위기 후속편"
- "감세로 투자 늘지 않는다는 건 단편적"
- [주목! 이 법안] "노인급식 지원 단가에 물가상승률 반영해야"
- 민주 `입법 폭주`·대통령 거부권, 여론 향배에 달렸다
- "정책 혼선 안돼" 與, 정책위 부의장·정조위원장 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