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에피스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 美 허가 획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황반변성 등 안과질환 치료 바이오시밀러가 유럽에 이어 미국에서도 허가를 획득해 북미 시장 상륙에 나선다.
이로써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8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바이우비즈의 판매 허가를 승인받은 데 이어 미국 시장에서도 첫 번째로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판매 허가를 획득하게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황반변성 등 안과질환 치료 바이오시밀러가 유럽에 이어 미국에서도 허가를 획득해 북미 시장 상륙에 나선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 '바이우비즈(성분명 라니비주맙)'의 판매 허가를 획득했다.
이는 지난 해 11월 바이오의약품 품목허가 신청서(BLA)의 사전 검토 완료 후 본격적인 서류 심사에 착수된 지 약 10개월 만이다. 이로써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8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바이우비즈의 판매 허가를 승인받은 데 이어 미국 시장에서도 첫 번째로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판매 허가를 획득하게 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번 바이우비즈의 미국 판매 허가 획득으로 기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3종: SB2, SB4, SB5) 및 항암제(2종: SB3, SB8)에 이어 안과질환 치료제로 사업영역을 확대할 수 있게 됐다.
루센티스는 로슈와 노바티스가 판매하고 있는 황반변성 등의 안과질환 치료제이다. 지난해 글로벌 매출은 약 4조원이며, 이중 미국 시장 매출은 14억4400만 스위스프랑(약 1조8000억원)에 달한다.
이번 허가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유럽과 미국 시장에 진출하게 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제넨텍과의 라이선스 계약에 따라 미국에서는 제넨텍의 해당 의약품 추가보호 증명(SPC) 만료 전인 2022년 6월부터 제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이외 지역에서는 제넨텍의 SPC 만료 이후부터 제품을 판매할 수 있다. 미국·유럽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젠과의 마케팅 파트너십을 통해 바이우비즈를 판매할 예정이다.
고한승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장은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서 당사 첫 안과질환 치료제의 판매 허가를 받아 기쁘다.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환자들에게 고품질 바이오의약품을 처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드론에 딱 걸린 충격적인 장면, 상관 팔·다리 붙잡더니..
- "비키니 사진을 너무..." 현직 변호사의 아찔한 일탈
- 문신·푹 파인 가슴까지...여가수의 화끈한 웨딩드레스
- 지진으로 실종된 '첼시' 출신 축구선수, 빌딩 잔해에서...
- "너 샤워장으로 따라와" 선배가 후배 끌고 가더니...
- 연쇄살인범 강호순 만난 여성교수 "강호순이 내게.."
- 동거 꿈꾸는 女모델, 등 노출된 드레스 입더니...
- 공터에서 발견된 불에 탄 시신, 주변에는...
- 같이 눕고 '침대 셀카' 여배우, 팔베개 해 준 사람은..
- "알아서 몰래 잘해" 걸그룹 멤버가 폭로한 내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