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한전 전기료 무조건 누른다고 될 일인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전력이 23일 4·4분기(10~12월)에 적용할 전기요금안을 발표한다.
올 1·4∼2·4분기에 한전은 전기료를 잇따라 동결했다.
이번에 한전이 2013년 이후 8년 만에 처음으로 전기료 인상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이 때문에 한전은 마음대로 전기료를 올리지 못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투자자 반발도 고려하길
한전의 지배구조는 독특하다. 코스피 상장사이지만 공기업이다. 1989년 코스피에 상장했다. 하지만 한국산업은행(32.9%)과 기획재정부(18.2%) 둘만 합쳐도 지분율이 50%를 초과한다. 국민연금도 지분율 6.43%로 대주주에 속한다. 이 때문에 한전은 마음대로 전기료를 올리지 못한다. 지난해 12월 산업통상자원부는 연료비 변동을 원가에 반영하는 원가연계형 전기요금 체계를 발표했다. 하지만 이 제도는 1차로 코로나, 2차로 정부의 유보권한에 막혔다.
전기료를 묶어두려는 정부의 노력은 이해할 만하다. 전기료는 물가에 두루 영향을 미친다. 최근 소비자물가는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는 등 꿈틀댈 조짐을 보인다.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자영업자들에게 전기료 인상은 엎친 데 덮친 격이다. 한전이 정부 지분율 100%의 공기업이라면 동결은 박수를 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동시에 한전은 시가총액 15조7200억원 규모의 코스피 26위 종목이다. 최대 수익원인 전기료를 수년째 묶어두면 주가가 탄력을 받을 수 없다. 한전 주가는 작년 12월 원가연계형 제도를 발표한 직후 큰 폭으로 올랐다. 그러나 요금 인상이 거푸 유보되자 뚝 떨어졌다. 이러니 한전 주주들은 전기료가 동결될 때마다 분통을 터뜨리고 배임소송을 거론한다.
이왕 오랜 고민 끝에 원가연계형 전기료 체계를 마련했으면 착실히 시행하는 게 바람직하다. 한전의 수익구조는 갈수록 나빠질 공산이 크다. 작년 말 정부는 오는 2034년까지 적용할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확정했다. 발전원별 설비용량 비중을 보면 원전은 18.2%에서 10.1%로, 석탄은 28.1%에서 15%로 낮아진다. 반면 신재생에너지는 15.8%에서 40.3%로 높아진다. 생산원가가 싼 원전 비중이 낮아지면 한전 수익엔 마이너스다. 탈원전엔 돈이 든다. 이를 가감없이 밝히고 전기료 인상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 게 정도다.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88세 남편, 죽기 전에 아내에게 남긴 말 "여보, 나..."
- 서인영 "남편 샤워 끝나면..." 발언에 김종국이 왜 발끈?
- 전현무 "전 여친, 논리적으로 싸우면 '변호사 납셨다'고..."
- 새벽 1시 산에서 길 잃은 60대 부부, 9시간 만에...
- 행사 안 뛰는 임영웅에 1억원 주면... 전문가들의 추측
- 아기 태워야 하는데..남편 "5억 스포츠카를.." 논란 사연
- 김준호 "前 아내와 이혼하러 갔다가 사인 요청 받아" [RE:TV]
- 주유진 "남편 장동민 차에 모르는 여자 블루투스 연결된 적 있어"
- 아동 300명 사망 확인... 죽음의 기침약 공개됐다
- TK의원에 쓴소리 날린 홍준표 “중앙정치서 힘도 못쓰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