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주행거리 잡아먹는 '냉·난방' 어떻게 대처하나[E슬타법]
[편집자주] 전기차(EV) 시대가 성큼 다가왔습니다. 올 들어 신차가 쏟아지면서 국내 전기차 판매량도 가파르게 증가해 누적 등록대수 20만대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정부가 2025년까지 113만대 보급을 목표를 내건 만큼 전기차 대중화는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EV 슬기롭게 타는 법(E슬타법)'을 통해 전기차 매뉴얼을 고민해봅니다.
급속 충전기는 50kW(킬로와트) 용량이 일반적이고 100kW·120kW급 충전기가 설치된 경우도 있다. 전압(V)와 전류(A)의 곱으로 표현되는 'W'는 시간당 전기에너지의 단위로, 용량이 클수록 충전기가 최대로 지원하는 충전 속도가 빠르다. 다만 차량마다 최대 충전이 가능한 전류가 달라 차량에 충전기를 연결하면 통신을 통해 결정된 전압과 전류로 충전이 진행되기 때문에 충전기 용량이 크다고 속도가 비례해 빨라지진 않는다.
400V급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차는 급속 충전을 하더라도 최소 수십분에서 약 한시간 내외의 시간이 필요하다. 충전 속도를 높이기 위해선 시간당 전기에너지인 'W'를 높여야 하는데 최대로 충전이 가능한 전류를 높이기 위해선 전선의 굵기와 내부에 설계된 부품의 용량을 키워야 하는 한계가 있다. 차량과 충전 설비가 지원하는 일정 수준으로 충전 전류를 높이는 것과 함께 전압을 높여야 충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그룹은 올해 초 350kW급 초고속 충전 브랜드 'e-pit(이피트)'를 선보이고 전국 고속도로와 시내 주요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다. 800V급 배터리를 적용한 현대차·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 5, EV6의 경우 초고속 충전기를 이용하면 20분 이내로 충전이 가능하다.
내연기관차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을 난방에 활용한다. 시동을 건후엔 계속 돌고 있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해 압축기로 냉매를 압축·기화시켜 공기를 냉각한다.
엔진이 없는 전기차는 난방에 활용할 열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전기로 필요한 열을 발생시키고 압축기를 돌린다. 전기에너지는 열선의 일종인 전기히터로 난방에 활용되고, 엔진 대신 전기모터로 압축기를 돌려 냉매를 순환시키는 방식이다.
완성차업체는 실내로 들어오는 노면 소음을 줄이기 위해 차체 하부에 방음 처리를 하기도 하지만 원천적으로 소음 발생이 억제되는 타이어를 원하고, 타이어 제조사들은 새로운 패턴과 신소재를 적용한 전기차 전용 타이어를 개발해 상품성을 높이고 있다. 전기차 전용 타이어는 저소음 성능 외에도 저속 고출력에 대응해 접지력을 높이고 배터리로 인한 고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주행 속도가 고속으로 갈수록 풍절음이 더욱 커지는데 전기차에선 특히 두드러진다. 공기 저항을 받는 모든 면에서 소음이 발생해 그릴과 후드(본넷), 윈드실드(앞창), 트렁크 형상을 통해 차량 정면에서 뒤로 이어지는 라인을 잘 다듬어 최대한 공기 저항 계수를 낮추기 위해 공을 들인다.
안전 시야 확보를 위해 장착되는 사이드 미러는 풍절음 부문에서 해결해야 할 숙제였다. 고해상도 카메라와 모니터 기술의 발달로 면적 및 부피가 작아진 카메라가 사이드 미러 대신 자리잡아 풍절음을 50% 이상 줄일 수 있는 시스템이 탑재되기 시작했다. 아우디가 새롭게 출시한 전기차 e-트론에 버추얼 사이드 미러로 불리는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게 이런 배경에서다.
반대로 전기차의 경우 조용한 특성 때문에 일부러 소음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전기차는 저속 주행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보행자 안전을 위해 강제로 소리를 내도록 하는 규정이 있다. 유럽에선 2019년 9월부터, 국내에선 지난해 7월부터 적용되고 있는 법규로 시속 20km 이하의 주행 속도에서 차속에 연동해 음압과 주파수를 변화시켜 전기차의 접근 상태와 속도를 주변 보행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엔 사용자가 임의로 이 기능을 끄지 못하도록 강제하는 항목도 포함돼 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옥중 결혼' 나한일·정은숙, 4년 만에 합의 이혼…이유는? - 머니투데이
- 개그우먼 이은형, '월세 사기' 일화 재조명…"범죄란 걸 모르나" - 머니투데이
- BTS 뷔, 재벌 딸과 열애설 뒤 심경…"한심해, 뒷목에 독침 쏠 것" - 머니투데이
- '8.7억' 시계 있는데 또?…추성훈, '롤렉스' 홀릭…"남자의 로망" - 머니투데이
- 방송하던 아내 방화 살해…中사회 분노케 한 남성에 '사형' 선고 - 머니투데이
- 12살 초등생 임신·출산시킨 男…'징역 1년 8개월' 선고되자 "항소" - 머니투데이
- 클레오 채은정 "母 일찍 여의고 父 재혼 3번…집안 시끄러웠다"
- 김숙, '한강뷰' 집 빌려준다는 팬 만났다…"비번까지 알려준다고"
- '148㎝' 홍영기, 아들 예측 키 '162㎝'…"엄마 유전자라 미안"
- 컨츄리꼬꼬 탁재훈, 저작권료 공개 '깜짝'…"매달 이만큼 들어와"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