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싸이티바, 한국에 621억원 규모 생산시설 설립 투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싸이티바(Cytiva)가 한국 내 생산시설 설립 투자를 결정했다.
이밖에 이날 체결식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17개 백신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대표들이 참석해 원부자재 공급, 백신 공동개발, 위탁생산, 감염병 대응 연구협력에 관한 4건의 기업간 MOU(양해각서)와 4건의 연구기관 간 MOU 체결이 이뤄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싸이티바(Cytiva)가 한국 내 생산시설 설립 투자를 결정했다.
정부는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시내의 한 호텔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한미 백신 협력 협약 체결식'에서 이 같은 성과를 냈다고 22일 밝혔다.
코로나19 백신 원부자재를 생산하는 싸이티바는 이날 국내에 고부가 세포배양액 생산시설 설립 투자 신고서를 제출했다. 투자기간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이며 규모는 약 621억원이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전세계 유행) 이후 글로벌 원부자재 기업이 한국에 생산시설 투자를 신고한 첫 번째 사례라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협력 주체가 중소기업으로 확대되고 협력 범위가 원부자재 협력, 백신 공동개발, 위탁생산 등 다양화되고 있으며 협력의 방향도 상호 기술협력뿐 아니라 원부자재 수출입 등 양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국내 기업들에게 도움이 될 전망이다.
특히, 싸이티비아가 국내에 투자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백신 원부자재의 안정적 공급망 구축뿐만 아니라 우리나라가 글로벌 백신 허브로 도약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밖에 이날 체결식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17개 백신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대표들이 참석해 원부자재 공급, 백신 공동개발, 위탁생산, 감염병 대응 연구협력에 관한 4건의 기업간 MOU(양해각서)와 4건의 연구기관 간 MOU 체결이 이뤄졌다.
이와 관련해 보건복지부는 "이번 성과는 지난 5월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 이후 한미 양국 간 협력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세계적 수준의 의약품 생산능력을 가진 한국과 세계 최고의 백신 개발 기술을 보유한 미국 기업 간 협력은 팬데믹 시대 위기 극복을 위해 연대·협력한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백신분야 연구개발(R&D) 지원, 인력 양성, 생산 인프라 개선 및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세제·재정 등 인센티브 확대, 우리나라의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미 백신 기업 제3국 공동 진출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진수기자 kim89@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화가 현실로…이란 핵과학자, 원격AI 로봇 기관총에 완벽히 당했다
- 장제원 아들 벤츠 몰다 접촉사고…경찰관 머리도 들이받아
- "수상해, 김정은…쏙 빠진 살 보니 대역 쓴 듯" 도쿄신문, 의혹 제기
- 40대 자영업자 안타까운 죽음…실종 3개월만에 야산서 발견
- "미·영·호주, 6월 G7서 극비리 만남…마크롱만 왕따" 영국언론 폭로
- `대세론` 올라탄 이재명, `집권플랜` 구체화 집중
- `빈자들의 교황` 프란치스코 떠나다
- CCTV부터 메인프레임까지… 곳곳에 `AI에이전트`
- `철옹성` 車보험 시장, 보험 혁신에도 `빅4` 과점 지속
- 포스코-현대제철, `강철 동맹`으로 美 관세 장벽 두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