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랑 다르다"..네이버 임원들 자사주 '줍줍'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정부 규제로 나란히 주가가 하락한 플랫폼 기업 중 네이버의 임원들이 주가 하락 후 자사주 매입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일 더불어민주당이 플랫폼 토론회를 개최해 본격 규제를 예고한 이튿날부터 2일간 네이버 주가는 10.24% 떨어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 임원이 자사주를 매입하자 네이버는 상대적으로 규제 논란에서 자유로운데도 플랫폼 기업으로 한데 묶이며 지나치게 주가가 하락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낙폭 더 큰 카카오는 자사주 사들인 임원 없어
독점 논란 먼저 빚으며 잡음 최소화에 집중
증권가 "높은 해외사업 비중, 카카오와 달라"
최근 정부 규제로 나란히 주가가 하락한 플랫폼 기업 중 네이버의 임원들이 주가 하락 후 자사주 매입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10~14일 네이버 임원 6명이 자사주 총 252주를 매입했다. 취득 단가는 39만 7,500원~41만 1,500원이다. 이들이 자사주를 매입한 시점은 정부 여당의 온라인 플랫폼 규제 논의가 촉발하면서 주가가 급락한 시점이다. 지난 7일 더불어민주당이 플랫폼 토론회를 개최해 본격 규제를 예고한 이튿날부터 2일간 네이버 주가는 10.24% 떨어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 임원이 자사주를 매입하자 네이버는 상대적으로 규제 논란에서 자유로운데도 플랫폼 기업으로 한데 묶이며 지나치게 주가가 하락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최근 네이버 주가는 반등과 조정을 거듭하며 17일 종가 기준으로 7일 대비 10% 남짓 내린 40만 원 선을 지켜내고 있다. 반면 같은 기간 카카오(035720)의 주가는 계속 흘러내려 하락 폭은 20%를 넘었다. 최근 하락 기간 카카오에서는 자사주 매입을 신고한 임원이 없다.
카카오에 앞서 이미 플랫폼 독점 논란으로 홍역을 여러 차례 겪은 네이버는 새로운 사업에 진출하면서 논란을 최소화하는 데 신경을 써왔다. 실제로 네이버가 현재 주력하는 쇼핑 사업은 입점 업체에서 걷는 수수료가 아닌 광고 수익이 주된 비즈니스모델(BM)이다. 정호윤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네이버는 골목 상권 침해 관련 이슈에서 비교적 벗어난다”며 “네이버 쇼핑의 경우 갑질 같은 논란에서 자유로운 서비스”라고 진단했다.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0억 받던 ‘학폭’ 쌍둥이 이재영·다영, 1억에 그리스 간다
- '오징어게임', 美 넷플릭스 1위…한국 드라마 최초
- 대장동 논란에 경기도 전 대변인 'LH와 전면전 치룬 이재명 성과'
- '中 과학자, 팬데믹 이전부터 코로나 변종 박쥐실험' 파장
- 이재명 “수박 기득권자들”… 이낙연측 “호남인 혐오하는 일베 용어”
- 재택근무 대세인데…구글, 2.5조원 들여 맨해튼 오피스 빌딩 매입
- 코인 덮친 ‘헝다 사태’...비트코인 5,000만원선 위태
- 김용민, 이낙연 두 동생 겨냥 '토건 기득권 세력과 무관한가'
- 예능 출연한 윤석열 '혼밥도 국민 앞에 숨지도 않겠다'
- '젊은 팀장 괴롭힘에 극단 선택한 父...억울함 풀어달라'…국민청원 올린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