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리콜 자동차 200만 대 돌파..전년 대비 40% 늘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시정조치(리콜)된 자동차 수가 지난해보다 40% 가량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2일 자동차리콜센터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환경부와 국토교통부가 실시한 리콜 자동차 수는 총 1829개 차종 224만4696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777개 차종 161만7813대)에 비해 38.7% 증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팩트|이한림 기자] 올해 시정조치(리콜)된 자동차 수가 지난해보다 40% 가량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2일 자동차리콜센터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환경부와 국토교통부가 실시한 리콜 자동차 수는 총 1829개 차종 224만4696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777개 차종 161만7813대)에 비해 38.7% 증가했다.
특히 리콜이 통상 12월에 많이 몰리는 점을 고려하면 지난해 연간 리콜 대수(244만4161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리콜 차량별로는 BMW가 75만9844대로 가장 많았다. 현대차 69만1700대, 메르세데스-벤츠 33만784대, 기아 31만54대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GM(4만5331대), 르노삼성차(3만1003대), 닛산(9만977대), 혼다(1만8975대)도 1만 대 이상이 시청조치 됐다.
리콜 사례 증가는 전동화 전환기를 맞은 자동차업계가 기존 모델보다 전장 부품 수가 많고 고전압 배터리가 장착되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판매 확대에 속도를 내기 시작한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업계에서는 전동화 모델의 품질 이슈가 향후 출시될 차량에 대한 신뢰 저하로 이어질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편 이달(9월)은 총 4만1858대 차량이 리콜 예고됐다. 한국GM은 2019년 2월부터 올해 4월까지 생산돼 국내에서 판매된 볼트 EV 2612대에 대한 리콜에 나섰으며, 현대차도 지난 7월 출시한 제네시스 브랜드 전기차 G80 전동화 모델 177대를 주행 중 시동 중단 우려로 리콜 조치했다.
2kuns@tf.co.kr
저작권자 ⓒ 특종에 강한 더팩트 & tf.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文정권 낙하산들<상>] '靑-민주당' 간판, 억대 연봉 금융권 임원 보증수표?
- [인물탐구-유승민] 경제·합리적 보수…'배신자' 주홍글씨
- 추석 이후 IPO 준비하자...현대엔지니어링 등 '대어' 줄줄이출격
- 코로나19 장기화 속 시중은행 건전성 관리 '비상'
- 추석 연휴 마지막 날 휘발유 가격 전일 대비 0.11원↓
- '이마트' 강희석 '롯데마트' 강성현, 닮은듯 다른 생존 전략
- [인터뷰] 김소연, "'펜하'는 두려움 떨치게 해준 작품"①
- 에이티즈, "이번 추석은 안전하고 행복하게...우리와 함께해요"
- '지·산·학 협력' 부산을 살리는 대안 될까[TF이슈]
- "그날을 위해 견뎌야죠"...이국에서 보내는 추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