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4.7%..코스피, 하반기 성적표 '글로벌 꼴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개월째 박스권 장세가 펼쳐지고 있는 코스피의 하반기 수익률이 주요국 대표 주가지수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 하반기 상승률은 주요 7개국(G7) 대표 지수와 비교해볼 때 가장 낮다.
G7 지수와 코스피의 하반기 평균 상승률은 2.15%로 상반기 평균 상승률 12.14%보다는 낮지만 코스피는 평균에도 한참 미치지 못했다.
주요 20개국(G20)의 대표 지수와 비교해도 하반기 코스피 상승률은 최하위권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G20에서도 브라질·남아공 이어 하위 세번째
2개월째 박스권 장세가 펼쳐지고 있는 코스피의 하반기 수익률이 주요국 대표 주가지수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6월 말 3,296.68에서 이달 17일에는 3,140.51로 156.17포인트 떨어졌다. 하반기 상승률은 -4.74%다.
지난해 말 2,873.47에서 올 6월 말 3,296.68로 423.21포인트 올라 상반기에만 14.73%의 상승률을 나타냈던 것과 크게 대비되는 모습이다.
코스피 하반기 상승률은 주요 7개국(G7) 대표 지수와 비교해볼 때 가장 낮다. 17일 기준 G7 가운데 6월 말보다 지수가 하락한 곳은 독일(DAX)과 영국(FTSE)뿐이었다. 이들 지수도 하락 폭은 각각 0.26%와 1.05%에 불과했다. 하반기 들어 가장 우수한 성과를 낸 이탈리아(FTSE MIB) 증시가 이 기간 12.61%의 상승률을 보이며 G7 중 가장 높았던 것과 비교하면 코스피는 17%포인트 이상 차이가 난다. 일본 닛케이지수도 5.93% 상승했다.
미국 나스닥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도 3.72%와 3.15% 각각 올랐다. G7 지수와 코스피의 하반기 평균 상승률은 2.15%로 상반기 평균 상승률 12.14%보다는 낮지만 코스피는 평균에도 한참 미치지 못했다. 주요 20개국(G20)의 대표 지수와 비교해도 하반기 코스피 상승률은 최하위권이었다. 코스피보다 상승률이 낮은 국가는 남아공(-5.91%)과 브라질(-12.12%)밖에 없었다.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0억 받던 ‘학폭’ 쌍둥이 이재영·다영, 1억에 그리스 간다
- '오징어게임', 美 넷플릭스 1위..한국 드라마 최초
- 대장동 논란에 경기도 전 대변인 'LH와 전면전 치룬 이재명 성과'
- '中 우한연구소, 동굴박쥐에 변종 코로나바이러스 전파할 계획'
- 이재명 "수박 기득권자들".. 이낙연측 "호남인 혐오하는 일베 용어"
- 재택근무가 대세인데…구글, 2.5조원 들여 맨해튼 오피스 빌딩 매입
- 코인 덮친 '헝다 사태'..비트코인 5,000만원선 위태
- 김용민, 이낙연 두 동생 겨냥 "토건 기득권 세력과 무관한가"
- 예능 출연한 윤석열 '혼밥도 국민 앞에 숨지도 않겠다'
- '젊은 팀장 괴롭힘에 극단 선택한 父...억울함 풀어달라'…국민청원 올린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