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 1,720명..명절 연휴 전방위 확산세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추석 연휴로 지역 이동이 늘어나면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전국적인 확산세가 우려된다.
매주 수요일을 기점으로 확진자 수가 전일 대비 400∼600명씩 급증하면서 2,000명을 넘는 최근의 주간 패턴과 달리 확진자 규모는 줄었지만, 이는 추석 연휴 검사 건수가 줄어든 영향이 반영된 결과여서 확산세가 꺾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1,703명, 해외유입이 17명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추석 연휴로 지역 이동이 늘어나면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전국적인 확산세가 우려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2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720명 늘어 누적 29만983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729명)보다 9명 줄었으나 이틀 연속 1,700명대를 기록했다. 매주 수요일을 기점으로 확진자 수가 전일 대비 400∼600명씩 급증하면서 2,000명을 넘는 최근의 주간 패턴과 달리 확진자 규모는 줄었지만, 이는 추석 연휴 검사 건수가 줄어든 영향이 반영된 결과여서 확산세가 꺾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대규모 인구 이동의 여파가 본격화하는 추석 연휴 이후부터 점진적으로 전국적 재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1,703명, 해외유입이 17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서울 641명, 경기 528명, 인천 145명 등 수도권이 총 1,314명(77.2%)이다. 비수도권은 충남 61명, 대구 41명, 광주 40명, 부산 38명, 강원 33명, 경남 29명, 경북 27명, 충북·전북 각 26명, 전남 23명, 울산 20명, 대전 16명, 제주 5명, 세종 4명 등 총 389명(22.8%)이다. 전체 지역발생 확진자 중 수도권 비중은 지난 15일 80.5%까지 치솟았다가 75% 안팎을 오르내리는 상황이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17명으로, 전날(32명)보다 15명 적다. 이 가운데 6명은 공항이나 항만 검역 과정에서 확인됐다. 나머지 11명은 서울·인천(각 3명), 경기·충북·충남·전북·경북(각 1명) 지역 거주지나 임시생활시설에서 자가격리하던 중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들의 유입 추정 국가를 보면 러시아 4명, 인도네시아·카자흐스탄·미국 각 2명, 중국·필리핀·우즈베키스탄·미얀마·파키스탄·몽골·에티오피아 각 1명이다. 국적은 내국인이 2명, 외국인이 15명이다. 지역발생과 해외유입(검역 제외)을 합치면 서울 644명, 경기 529명, 인천 148명 등 수도권이 총 1천321명이다. 전국적으로는 17개 시도 전역에서 확진자가 나왔다. 사망자는 전날보다 6명 늘어 누적 2,419명이 됐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0.83%다. 위중증 환자는 총 317명으로, 전날(328명)보다 11명 줄었다.
이날까지 격리해제된 확진자는 1,722명 늘어 누적 26만1,812명이 됐고, 격리치료 중인 환자는 8명 줄어 총 2만6,752명이다. 전날 하루 선별진료소에서 의심환자 등을 검사한 건수는 3만1,151건으로, 직전일 3만310건보다 841건 많다. 이와 별개로 전국의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실시한 검사는 총 6만8,322건이다.
박윤선 기자 sepys@sedaily.com<©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재산 5조 사라진 김범수…한국 '최고 부자' 자리 내줬다
- 추석도 쉬지 못하고…코로나가 만든 취업·알바 굴레
- BTS와 美 미술관 동행한 김정숙 여사
- '용진이형까지 들어오면…' 한정판 운동화 수집가들이 한탄한 이유
- 9월엔 카드 긁지 마세요...정부 지원금 또 옵니다 [뒷북경제]
- [영상] '가로본능 차 어떻게 피하나'…전복된 테슬라 과실비율 논란
- 일터 떠나는 간호사…결국 해외로도 눈 돌렸다
- 딸이 끓이면 게으르다?…가족 간 성차별 논란 일으킨 '이것'
- 주사 한 방이면 끝 '기적의 치료제'…단 1회 비용이 25억
- 커지는 中 부동산재벌 헝다그룹 디폴트 우려...리먼사태 재연되나